산업 기업

삼성 불확실성 커져도…'호암상'은 놓지 않았다

과학상 최수경 경상대 교수

공학상 장진 경희대 석학교수

의학상 백순명 연세대 교수

예술상 서도호 현대미술 작가

사회봉사상 라파엘클리닉

선대 '인재제일·공익정신' 계승

상금 3억…시상식 6월 1일 열려

최수경 경상대 교수최수경 경상대 교수




장진 경희대 석좌교수장진 경희대 석좌교수


백순명 연세대 교수백순명 연세대 교수


서도호 현대미술작가서도호 현대미술작가


삼성미래전략실 해체에도 호암재단이 올해 호암상 시상식을 예정대로 진행한다. 호암재단은 5일 ‘2017년도 제27회 호암상 수상자’를 확정 발표했다.


올해 호암상은 과학상에 최수경 경상대 교수, 공학상에 장진 경희대 석학교수, 의학상에 백순명 연세대 교수, 예술상에 서도호 현대미술 작가, 사회봉사상에 라파엘클리닉 등 5명이 선정됐다. 시상식은 오는 6월1일 오후3시 호암아트홀에서 열린다. 수상자들은 각각 상장과 순금 50돈으로 만들어진 메달, 상금 3억원을 받게 된다.

호암상은 지난 1990년 이건희 삼성 회장이 호암 이병철 선대 회장의 인재제일주의·사회공익정신을 기리기 위해 제정한 상이다. 과학·공학·의학·예술·사회봉사상이 수여된다. 현재까지 138명의 수상자를 선정하고 229억원의 상금을 지급했다.


호암재단은 대내외 저명 학자와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38명)와 국제적 명성을 가진 해외석학자문단(37명)의 업적 검토, 현장 실사 등 4개월에 걸친 심사 과정을 거쳐 이들을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노벨상 수상자인 댄 셰흐트만 박사, 노벨상위원장을 지낸 스벤 리딘 박사 등 해외의 저명한 석학 6명도 호암상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다.

관련기사



호암재단에 따르면 최수경 교수는 국제 공동연구그룹인 벨 실험팀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며 기존에 알려진 입자와는 성질이 전혀 다른 새로운 유형의 X·Y·Z 입자를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장진 석학교수는 세계 최초로 ‘플렉시블 아몰레드(AMOLED)’ ‘투명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를 개발하는 등 디스플레이의 성능과 기능을 혁신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

백순명 교수는 ‘HER2’ 유전자가 유방암 환자의 좋지 않은 예후인자임을 밝히고 HER2를 표적으로 하는 항암치료제 ‘허셉틴’이 유방암 수술 환자들의 재발을 현저히 낮춘다는 임상 연구를 주도했다. 예술상을 받는 서도호 작가는 조각·영상·설치 등 다양한 매체로 한국적 미감과 세계인의 보편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독창적인 작품활동을 펼치고 있는 국제적 명성의 현대미술 작가다.

사회봉사상을 받는 라파엘클리닉은 공적 의료혜택을 받지 못하는 국내 거주 외국인 근로자들을 위해 1997년부터 매주 일요일 무료진료를 해왔다. 2016년까지 총 23만명에게 의술로 인류애를 실천해왔다.

삼성 오너 일가는 매년 호암상 시상식에 참여해왔지만 올해는 참석 여부가 확정되지 않았다. 삼성을 둘러싼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진 탓이다. 지난해 호암상 시상식에서는 피아니스트 조성진 등을 초청해 음악회도 열렸지만 올해는 음악회 없이 시상식과 강연회 등으로만 행사가 치러진다.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