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3분의1을 투자했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만큼 ‘인보사’의 성공과 코오롱의 미래를 위해 끝까지 함께할 각오가 돼 있습니다.”
세계 최초의 퇴행성관절염 세포유전자 치료제인 인보사의 양산을 앞두고 5일 코오롱생명과학(102940)의 충북 충주공장을 찾은 이웅열 코오롱그룹 회장은 19년간의 가슴앓이와 난관들이 눈앞에 지나가는 듯 감격에 겨운 모습이었다. 19개의 초가 켜진 인보사의 주민등록증처럼 만든 케이크에는 연구개발(R&D)에 참여한 연구원과 직원들의 사진이 새겨져 있었고 이 회장은 그들의 얼굴을 기억에 담아두려는 듯이 한참을 바라본 후 조촐한 행사가 시작됐다.
인보사는 사람의 정상 동종 연골세포와 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성장인자를 가진 세포를 무릎 관절강 내에 주사로 간단히 투여해 퇴행성관절염을 치료하는 바이오신약이다. 매년 600만명씩 새로운 환자가 발생하며 한 해 40조원 규모의 ‘블루오션’이지만 인보사 이전의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는 일시적으로 통증을 완화해주는 소염진통제나 일정 기간 연골을 보호하는 히알루론산 주사제가 전부였다. 그렇기 때문에 이 회장은 19년 동안 매일같이 인보사의 탄생과 양산을 기다려왔다.
이 회장에게 인보사는 어떤 의미였을까. 그는 이날 인보사의 의미를 칠판에 적는 행사에서 주민등록번호의 첫 6자리 숫자인 듯한 ‘981103’을 조심스럽게 적었다. 인보사 사업검토 결과보고서를 받아본 날이 1998년 11월3일이었고 성공할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보고를 받고도 많은 고심 끝에 연구를 시작할 것을 결정 내린 날이었다. 그래서 이후부터 인보사는 이 회장에게 자식과 같은 존재로 자리매김했다. 이날도 직원들에게 이 회장은 “인보사는 저의 네 번째 아이”라며 “오늘은 이 아이의 성인식을 맞는 날”이라고 했다. 지난 19년 동안 속 앓이를 하면서 자식이 성장하는 모습을 바라보는 부모의 마음이 바로 이 회장에게 인보사가 주는 의미였다.
이날 이 회장의 공장 방문은 그동안의 마음고생을 직원들과의 허심탄회한 대화를 통해 털어내는 자리이자 치료제 양산을 앞두고 새로운 각오를 다지는 자리였다. 이 회장은 ‘인보사 성인식 토크쇼’에서 “성공 가능성이 0.00001%라고 할지라도 그룹의 미래를 생각할 때 주저할 수 없었고 과감하게 실행에 옮겼다”며 “현재 충주공장의 증설이 추진 중인데 차질없이 진행해 곧 다가올 인보사 시대를 미리 준비하자”고 독려했다.
사실 국내 바이오 의약품 업계의 한 획을 그은 인보사의 탄생은 그리 순탄하지 않았다. 1996년부터 부친인 이동찬 코오롱그룹 명예회장에게 경영권을 물려받은 뒤 이 회장은 코오롱그룹의 새로운 먹거리를 고민하게 됐고 그 이전부터 바이오 사업에 대한 준비를 착실히 해왔다. ‘성공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보고서를 받아본 1998년은 코오롱에 시련의 시간이었다. 외환위기의 파도는 코오롱을 비껴가지 않았으며 26개 계열사를 15개로 줄이는 구조조정에 나선 시기였다. 이 와중에 이 회장은 1999년 미국에 바이오사업을 위한 법인을 설립한 데 이어 2000년 ‘티슈진’이라는 바이오제약 회사를 만들어 본격적인 투자에 나섰다. 2008년에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투자비 조달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이 회장은 당시 그룹 안팎의 우려에도 바이오산업이 미래의 중요한 먹거리가 될 것이라고 확신하며 사업을 추진했다.
개발 과정에서 난관을 겪은 경우도 한두 번이 아니었지만 그때마다 이 회장은 임직원을 독려해오면서 지금까지 사업을 이끌어왔다. 한번은 국내 임상을 진행하기 위해 임상 치료제를 병원까지 옮겨야 했는데 국내에서는 이를 대신할 수 있는 업체가 없어 직원들과 연구원들이 밤을 새워 병원으로 옮겼다는 소식을 듣고 다음날 아침 회의에서 직원들을 직접 챙기는 열정을 보이기도 했다. 19년간 연구진과 수시로 연락하면서 개발 과정을 챙겼고 모든 사업에서 인보사 개발은 늘 1순위였다.
19년 만에 양산을 앞둔 인보사의 생산 현장을 찾은 이 회장은 “바이오라는 가보지 않은 길을 가다 보니 두렵기도 하고 어려움도 많았을 것”이라며 “어려움 속에서 기회를 찾았고 성공에 대한 확신이 있었기에 지금까지 올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