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캐스팅보트 쥔 보수층...대선 승패 가른다

■데스크진단 서정명 정치부장 vicsjm@sedaily.com

洪·劉 찍으면 사표될 것 뻔해

“文 대안 후보 밀어주겠다” 심리 강해

보수표 따라 19대 대선 승패갈릴 듯





보수층이 사상 처음으로 19대 대선 캐스팅보트를 쥐게 됐다.


1951년 이승만 계열의 자유당이 창당된 이후 줄곧 보수정당에 40% 가량의 지지표를 던지며 상수(常數) 역할을 했는데 이제는 변수(變數)가 됐다.

과거와는 사뭇 다른 생소한 대선 풍경이다. 보수층이 귀중한 한 표를 줄 만한 마땅한 후보를 찾지 못해 여기저기 기웃거리고 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30.0%를 웃도는 지지율을 기록하며 대세론을 굳히고 있는 것도 내심 불쾌하다. 보수 후보로 분류되는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에게 눈길을 돌려보지만 영 마뜩지 않다. 표를 던졌다가는 사표(死票)가 될 게 뻔하다고 여긴다. 보수층이 ‘대안 후보’를 찾아 나선 이유다.


사상 처음으로 보수층이 대통령 선거의 ‘중심 표심’이 되지 못하고 변방으로 밀리면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맡게 됐다. 이 같은 현상은 여론조사에서 여실히 나타난다. 한국리서치가 4일 발표한 조사에서 지난 18대 대선에서 박근혜 후보를 찍었다고 응답한 사람 가운데 42.7%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를 지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수 대변자를 자처하는 홍 후보를 찍겠다고 답한 사람은 18.8%에 그쳤는데 이는 문재인 후보(16.25)와 비슷한 수준이다. ‘안 될 보수 후보’에 표를 던지느니 차라리 문 후보에 대적할 수 있는 ‘대안 후보’로 발길을 돌리겠다는 의지가 강하게 배어 있다. 민주당 경선 주자였던 안희정 충남지사를 지지했던 중도보수 표심이 같은 당 문 후보보다는 안철수 후보에게 더욱 몰리는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관련기사



역대 대통령선거에서 보수층은 보수정당에 무의식적으로 표를 몰아줬다. 하지만 보수 후보의 약세가 뚜렷해지고 있는 현실 상황을 받아들여 지금은 고도의 전략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문 후보의 지지율이 30%를 약간 넘는 수준인데 대세론으로 보는 것은 무리”라며 “5자 구도에서도 문 후보와 안 후보는 박빙의 승부를 펼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보수층의 표심 향배에 따라 문·안 양강구도가 대선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보수층의 마음이 갈대처럼 흔들리는 이유는 홍 후보와 유 후보의 경쟁력이 크게 떨어지고 있어서다. 이들 후보의 합산 지지율은 15%를 넘지 못한다. 35%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문 후보에 맞선다면 백전백패가 볼 보듯 하다. 보수층이 안 후보에게 마음의 문을 여는 것은 이 때문이다. 지난달 21일 20.7%였던 안 후보의 지지율은 이달 4일 31.8%까지 치솟았다.

앞으로 33일 남은 대선 기간 중 보수층은 대권 주인공을 결정하는 마스터 키를 쥐게 된다. 홍 후보와 유 후보가 독자적으로 지지세를 모으거나, 단일화를 통해 보수결집에 성공할 때에는 보수층의 귀소본능이 살아날 수 있다. 하지만 이들의 지지율이 15% 아래에 머문다면 안 후보에게 러브콜을 보낼 것이다.

결국 이번 대선의 하이라이트로 여겨지는 문 후보의 대세론과 안 후보의 역전승을 결정하는 최종 심판은 보수층이 내리게 된다.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