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물의 재활용

이제는 변기에서 나온 물을 정수해서 먹는 시대가 오고 있다. 과거 변기에서 배출된 물은 바다로 가거나 농업용수로 쓰여 졌다. 그러나 언젠가는 소변을 정수해서 음료수로 재활용하게 될 것이다. 샌디에고 등 1년 내내 가뭄에 시달리는 여러 미국 도시들은 첨단 정수 시설을 이용해 하루 수백만 리터씩 버려지던 인간의 배설물을 정수하기 시작했다. 맛도 너무 좋아 한때 이것이 대소변이었다는 사실을 눈치 채지 못할 정도다.



1. 배설물을 내보낸다
인간의 소변은 90%가 물이다. 대변 역시 75%가 물이다. 변기를 한 번 내릴 때마다 6~26리터의 깨끗한 물이 대소변과 함께 섞여 하수도로 떠내려가는 것이다. 그러나 이제는 대소변을 정화해줄 첨단 정수 시설이 있다.


2. 큰 이물질 걸러내기
정수 시설에서는 일종의 망사를 사용해 돌, 막대기, 기타 하수 속에 떠다니는 큰 이물질들을 걸러낸다. 큰 이물질들이 하수의 상층부에서 흘러 다니는 반면, 작은 이물질은 깊숙이 가라앉는다. 일부 도시에서는 화학물질을 투입해 이들 이물질들을 한 데 뭉치게 한다. 그렇게 하면 깊숙이 숨은 이물질도 쉽게 건져내 제거할 수 있다.

3. 자세히 살핀다
“활성화된 쓰레기”라는 표현은 듣기 거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박테리아 덩어리는 유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오니를 큰 정화조에 넣고 휘저어 흔든다. 가라앉고 나면 농업용수 또는 산업용수로 쓸 수 있을 만큼 정화된 물이 나온다. 그러나 아직은 음료수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4. 마지막 정수과정
빨대 같은 미세한 섬유를 통해 물 속의 유익한 성분만 걸러낸다. 이 섬유의 구멍은 개별 물 분자만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작기 때문에, 압력에 의해 물이 이 섬유를 통과하면 순수한 물만 남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을 역삼투압이라고 한다. 이 과정에서 유해한 물질은 모두 사라져 음용 가능한 물이 된다.

관련기사



5. 자연으로 방류
사람들은 소변을 정수해서 마신다는 발상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 완전 정수된 물은 자연 저수지로 보내져 강물 및 자연강수된 물과 혼합된다. 이 물은 그 곳에 아주 오랜 기간 동안 머물면서 돌과 흙에서 광물질을 얻은 다음, 자연 정수 절차를 거치다가 다시 사용된다.

6. 다시 가정으로
저수지에 엄청나게 오래 저장되어 있던 이 물은 음료수로 사용되기 전에 한 번 더 정수 과정을 거쳐야 한다. 염소 등의 살균제를 투입한 다음, 상수도에 투입된다. 이 물을 유리잔에 따라 마시면 또 한 사이클이 진행된다.

100. 3억 7850만 리터
캘리포니아 주 오렌지 카운티에서 매일 재활용되는 폐수의 양

서울경제 파퓰러사이언스 편집부 / By Sara Chodosh, illustration by Adam Simpson

Sara Chodosh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