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단양 적성비 발굴' 정영호 박사 별세





중원 고구려비, 단양 적성비 등의 발굴 조사에 참여했던 미술사학자 호불(豪佛) 정영호(사진) 박사가 지난 7일 오후2시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3세.

고인은 서울대 사범대 역사학과를 졸업하고 단국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 미술사학계의 태두로 불리는 황수영(1918~2011) 박사를 스승으로 뒀고 고고미술동인회에 참여해 황수영 박사, 최순우(1916~1985) 전 국립중앙박물관장, 간송미술관 설립자인 간송 전형필(1906~1962) 선생 등과 교류했다.


불교미술계의 권위자이자 석조미술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그는 1966년 경주 불국사 석가탑이 도굴범에 의해 훼손됐을 때 탑 안에서 사리장엄(舍利莊嚴)을 발견해 학계에 알렸다.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양양 진전사 터에서 부도(보물 제439호)와 삼층석탑(국보 제122호)을 발굴해 복원하기도 했다. 이후 1970년대에는 5세기에 고구려 장수왕이 남한강 유역을 점령하고 건립한 충주 중원 고구려비(국보 제205호)와 6세기에 신라 진흥왕이 세운 비석인 단양 적성비(국보 제198호)를 잇따라 발굴했다. 이들 비석은 한국 고대사의 비밀을 풀 단서로 손꼽힌다.

관련기사



특히 단양 적성비는 1978년 답사 도중 신발에 묻은 흙을 털어내던 돌부리에 글씨가 새겨진 것을 발견하면서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는 일화가 유명하다.

한국미술사학회 회장과 한국문화사학회 회장, 문화재위원,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으며 우현문화상과 만해학술상을 수상했다. ‘백제의 불상’ 등 저서를 남겼다. 유족으로는 부인 민대자 여사와 딸 혜림·혜정·순미·윤정씨, 사위 허중권(육군 3사관학교 교수), 임승순(고용노동부 부이사관)씨 등이 있다. 빈소는 서울 아산병원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10일 오전8시다. (02)3010-2000

조상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