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구의역 사고 1년, 지하철 안전문 센서 교체 제자리걸음

업체서 시험 인증서 못 내 납품 기일 넘겨

市, “빨리 교체하는 방안으로 계약 해지 vs 유지 고민”

서울 서초구 방배역 스크린도어/연합뉴스서울 서초구 방배역 스크린도어/연합뉴스


구의역 스크린도어 사망 사고 발생 1주년을 앞둔 가운데 사고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서울 지하철 스크린도어 센서 교체 작업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 서울 지하철역 일부 스크린도어 센서를 기존 적외선에서 레이저 센서로 교체하는 사업을 따낸 업체는 납품 기일인 올해 2월을 2개월 가까이 넘겨 교체 작업이 지연되고 있다.


서울메트로는 올해 1월 스크린도어 안전사고 방지 대책으로 101억 원을 들여 97개 역 6,742곳의 스크린도어 장애물 검지 방식을 레이저 센서로 바꾸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기존 적외선 센서는 작업자가 선로 쪽에서 점검해야 해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지만, 레이저 센서는 승강장 쪽에서 작업할 수 있어 더 안전하다는 이유였다.

시 관계자는 “센서 교체 작업을 제때 못한 것은 사실”이라며 “레이저 센서는 원래 다 수입품인데, 해당 업체는 자체 개발해 부착한다고 했다. 그런데 품질시험원에서 시험인증서를 아직 받지 못해 시에 제출을 못 하면서 납품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체 측에서 제품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한 일종의 품질 인증서를 제출해야 하지만, 아직 이 단계조차 이르지 못했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이에 일각에서는 지난해 구의역 사고와 김포공항역 사고처럼 스크린도어 사고가 잇따랐지만, 정작 후속 대처는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소를 잃고서도 외양간을 고치지 못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있다.

시는 가장 빨리 교체 작업이 이뤄지는 것을 목표로 두고 해당 업체와의 계약을 유지할지 아니면 해지할지를 고심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우선 협상 대상 업체와 계약을 해지하면 해당 업체에서 가처분 등 법적 대응에 나설 경우 자칫하면 교체 작업이 더 늦어질 우려가 있다”며 “우리 쪽에서 기다리면 시험인증서를 받을 가능성은 있는 것인지, 어떤 방안이 더 (센서를) 빨리 교체하는 방안일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내년까지 서울 시내 모든 역사에 레이저 센서를 설치하는 계획은 그대로 갈 것”이라며 “원래 외국 제품이다 보니 국내에 아직 개발된 제품이 없어 수급상 어려움이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서울 시내 일부 역사를 대상으로 한 스크린도어 재시공 역시 하겠다고 나서는 업체가 없어 공전 중이다. 한 차례 유찰돼 현재 재입찰 공고 중으로, 이달 말께 낙찰 여부가 최종 결정된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