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일제가 송진까지 짜낸 까닭은?



1942년 4월11일, 일본 요코하마. 항구에 기쁨이 넘쳤다. 보르네오산 원유 5,100t을 적재한 유조선이 입항했기 때문이다. 남방의 석유가 일본에 들어오기는 처음. 요코하마 항구뿐 아니라 일본 전역이 들썩였다. ‘내 손으로 마음껏 뽑아 쓰는 원유’는 일본의 오랜 숙원이었기에 반가웠을 수밖에. 일본은 석유 외에도 전쟁 수행에 필수품인 철광석과 고무, 주석 같은 천연자원을 확보했다고 믿었다.

태평양전쟁 직전 일본의 에너지원에서 석유가 차지하는 비율은 8%. 석탄을 주로 썼어;다. 의존도는 낮았어도 일본은 석유 때문에 전쟁에 나섰다. 중국과 인도차이나 침략, 독일과의 동맹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과 영국, 네덜란드가 대일 석유 수출을 중단하자 일본은 인도네시아의 유전을 직접 확보하기로 마음먹었다. 보르네오 등에 산재한 인도네시아의 유전은 당시 북미와 소련 코카서스 지역과 더불어 세계 3대 유전 지대. 네덜란드 식민지 정도야 얼마든지 점령할 수 있다고 여겼다.


걸림돌은 배후에 강력한 적이 있다는 점. 동인도 제도의 유전 지대를 확보해도 미국 태평양함대가 출동하면 해상 보급선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생각에 선수를 쳤다. 미 해군 태평양함대의 모항인 하와이 진주만을 기습한 이유 중 하나가 안정적인 자원 수급에 있었다. 네덜란드 식민지를 점령하면 미국이 개입할 게 뻔한 상황에서 일본은 유전 확보와 진주만 기습을 거의 같은 시간대에 해치웠다. 초전은 완벽한 승리였다. 진주만 기습은 물론 낙하산 부대를 투입해 유전까지 손에 넣었다.

막상 보르네오 유전은 일본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영국과 네덜란드가 철수하면서 유정을 철저하게 파괴한 탓이다. 일본은 복구에 매달렸지만 쉽지 않았다. 보르네오와 버마 등 남방지역의 산유량은 전쟁 이전까지 6,510만t에 달했지만 일본이 점령하고 생산을 재개한 1942년에는 2,594만t에 그쳤다. 이듬해인 1943년에는 4,963t을 뽑아내 전쟁 전의 76.2% 수준까지 끌어올렸으나 이후부터는 산유량 자체가 줄어들었다. 1945년에는 전쟁 전의 10% 수준으로 떨어졌다.

일본이 원유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었음에도 생산량이 급감한 이유는 운송 수단이 마땅하지 않았던 탓이다. 일본이 투입한 유조선과 수송선은 미 해군의 잠수함에 철저하게 당했다. 독일군 잠수함 U-보트의 활약에 가려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태평양전쟁에서 미군 잠수함들은 일본으로 향하는 유조선을 때려 부수었다. 일본이 보유한 민간 철제 선박의 86%가 미 잠수함의 밥으로 사라졌다. 미 해군이 격침한 일본 수송선 가운데 54%가 잠수함대에 의해 사라졌다.


일본은 애초부터 미국과 겨룰 수 있는 상대가 아니었다. 태평양전쟁이 터진 1941년 미국과 일본의 국내총생산(GDP)은 7.03대 1. 원유 생산량은 720 대 1로 하늘과 땅 차이였다. 일본은 이런 차이를 알면서도 크게 두 가지를 믿었다. 첫째는 전략 비축유. 러일전쟁 이후 연료의 중요성을 절감한 일본은 1909년부터 석탄과 유류 비축에 나섰다. 세계 최초로 에너지 자원을 전략적으로 비축하기 시작한 일본은 태평양전쟁 직전 연합함대가 2년간 쓸 수 있는 850만t을 저장하고 있었다.

관련기사



두 번째로 믿은 것은 정신력의 우위. 미국보다 객관적인 전력에서 열세라도 일본 고유의 정신력으로 버틸 수 있다고 자신했다. 개전을 앞두고 일본의 해상 통상로가 미 해군 잠수함에 의해 피격될 가능성을 점검할 때도, ‘어렵지만 정신력으로 이겨낼 수 있다’는 군부의 설명이 먹혀들었다. 1차 대전 중 독일 잠수함에 의한 연합국 상선의 피해를 근거로 하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갖고도 일본은 정신의 힘만 부르짖었다.

더욱 큰 문제는 상대방을 얕봤다는 점이다. 일본은 미 해군 잠수함들의 군기가 나태해 일본 배를 공격할 능력도 배짱도 없다는 판단 아래 유조선들을 호위도 없이 내보냈다. 일본 수송선들이 미 잠수함의 손쉬운 먹잇감이라는 사실을 절감한 1943년 이후 호위 함정을 딸려 보냈으나 1910년대에 건조된 구식 소형 함정이어서 효과가 없었다. 미군 잠수함들이 이리 떼처럼 일본 수송선을 격침하는 와중에도 일본은 생각을 바꾸지 않았다.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에서 톡톡히 재미 본 함대 결전 사고에 젖어있었던 탓이다.

대형 전함끼리 함포사격을 주고받는 함대 결전이 바로 해군이 역할이라고 생각한 일본 해군은 잠수함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 미군보다 우수한 장거리 어뢰, 배수량이 큰 잠수함을 일본은 보조전력으로만 써먹었다. 일본 수송함대가 괴멸적인 타격을 입은 1944년 이후에는 아예 잠수함을 병력과 물자 수송 용도로 돌렸다. 바다의 은밀한 저승사자인 잠수함을 노새로 부린 꼴이다.

1945년 초 가미카제식 특공 수송 선단이 미 해군의 항공기와 잠수함에 의해 전멸에 가까운 피해를 입은 뒤부터 남방으로부터 석유를 비롯한 자원 보급은 완전히 끊겼다. 해외 유전으로부터의 반입이 끝나는 순간까지 일본 육군과 해군은 주도권을 놓고 다퉜다. 해군과 육군이 유전을 따로 관리했다. 육군이 해군과 별도의 유조선과 수송선을 건조해 운영했으니 자원의 효율적 통합 관리는 애초부터 기대할 수도 없었다.

해상 통상로가 막혀버린 뒤부터 일본은 천운(天運)과 꼼수에 매달렸다. 유조선이 없어 300~500배럴이 들어가는 대형 고무 자루에 원유를 담아 소형 예인선으로 끌고 가는 방법까지 동원했다. 각종 식물에서 기름을 짜내고 소나무에서 송진을 빼내고도 일본은 자원 부족에서 끝내 벗어나지 못했다. 일본은 결국 석유 부족으로 미국에 무릎을 꿇었다. 조선의 산까지 황폐화한 송진 기름은 훗날 쓸모없는 것으로 판명 났다. 일본에 진주한 미군이 고이 보관된 송진 기름을 실험했더니 의외의 성과를 냈다고 한다. 송진 기름이 실린더 벽에 달라붙어 차까지 망가졌다나.

/논설위원 겸 선임기자 hongw@sedaily.com

권홍우 논설위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