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조현병, 각종 강력 범죄의 원인?...전문가 "편견과 오해"

조현병, 각종 강력 범죄의 원인?...전문가 “편견과 오해”조현병, 각종 강력 범죄의 원인?...전문가 “편견과 오해”




조현병이 포털 사이트 랭크에 오르내리고 있다.


조현병은 과거 ‘정신분열증’으로도 불렸으며, 전문가들에 따르면 100명 중 1명꼴로 발병할 만큼 흔한 병이다.

완치할 수 없다는 세간의 이미지와는 달리 조현병은 약물로 다스릴 수 있는 질환이다. 한 매체와 인터뷰 한 권준수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에 따르면 “당뇨병이나 고혈압처럼 약만 잘 먹으면 별문제 없이 일상생활이 가능하다고 보면 된다”고 알렸다.

대중이 조현병에 관심이 높아진 이유는, 최근 살인 등 강력범죄 사건 피의자가 조현병 환자인 경유가 많기 때문이다.


지난 해 5월 강남역 여성 살인사건의 범인 김모(34)씨 부터 같은 달 이어진 부산 ‘묻지 마 폭행’ 사건과 수락산 주부 살인사건의 범인도 모두 조현병 환자로 밝혀졌다. 같은 해 9월 경기도 광명에서 40대 조현병 환자가 자전거 타던 노인을 구타하기도 하고, 봉하마을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 묘역에 소변을 뿌리거나, 조계사의 불상을 훼손하는 등 구타부터 재물손괴 사건까지 발생했다.

관련기사



올해 3월 발생한 8살 여아를 살해한 10대 살인범 역시 조현병을 이유로 들고 있어, 조현병에 관한 여론은 날이 갈수록 악화 되고 있다.

지난 해 시행된 정신보건법 개정안은 여론을 의식해 경찰이 특정 정신질환자가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보호자 동의 없이도 전문의 2명의 판단을 거쳐 입원시키도록 했다.

한편, 조현병을 앓는 사람이 정상인보다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큰 ‘위험한 집단’이라는 관점은 편견이라는 지적도 있다. 2011년 대검찰청 범죄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정신질환자의 범죄율(0.08%)은 정신질환에 걸리지 않은 사람의 범죄율(1.2%)의 10분의 1도 되지 않는다. 이에 더해 2014년의 대검 보고서 통계를 보면 2013년 한해 범죄자 128만여명 중 정신질환을 가진 사람 비율은 0.4%로, 정신질환이 없는 경우 비율 42.8%보다 압도적으로 적었다.

정신과 전문의들은 “조현병 환자는 당국이 관리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사회가 시스템으로 ‘보호’해야 할 약자”고 설명한다. 조현병 초기 증세를 보이는 환자가 받을 수 있는 치료 프로그램이 너무 부족하고, 시설과 인력 역시 충분치 않다는 지적이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김상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