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정부, 오징어·명태 등 6,700톤 풀어 물가 잡는다

최상목(오른쪽) 기획재정부 1차관이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회의 겸 범정부 비상경제대응TF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최상목(오른쪽) 기획재정부 1차관이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회의 겸 범정부 비상경제대응TF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정부가 수산물 물가 안정을 위해 비축 물량 6,700톤을 시장에 풀기로 했다. 정부 방출 물량은 전통시장, 마트에서 시중가보다 10~40% 싸게 살 수 있다.

기획재정부는 14일 해양수산부, 농림축산식품부, 공정거래위원회와 함께 ‘물가관계차관회의 겸 범정부 비상경제 TF 회의’를 열고 수산물·채소류·계란 물가 안정 방안 등을 논의했다.

수산물의 경우 최근 오징어·갈치 등의 생산량이 줄어 가격이 오르고 있다. 지난 3월 오징어는 전년보다 43.5%, 갈치는 48.2% 올랐다. 또 이번 달부터 생선을 잡을 수 없는 금어기 또는 휴어기가 시작돼 수산물 가격의 추가 상승이 우려된다.


정부는 이에 따라 다음 주부터 수산물 6,748톤을 방출해 물가 안정을 꾀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명태 4,500톤, 고등어 1,314톤, 갈치 600톤, 냉동·마른오징어 171톤 등이다. 이번에 방출하는 수산물은 전통시장, 대형마트 등에서 시중 가격보다 10~40% 싸게 살 수 있다. 5~6월엔 오징어, 명태 등을 20~50% 싸게 판매하는 ‘직거래 대전’도 연다.

관련기사



정부는 또 수급 불안 가능성이 큰 오징어, 명태 등은 연간 비축 물량의 5~10%를 상시 보유하는 상시비축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조류독감(AI) 여파로 가격이 많이 오른 계란은 수입 확대, 유통 원활화를 적극 추진한다. 이르면 6월부터 태국산 신선란을 수입하고 AI 청정국 지위를 회복할 것으로 예상되는 유럽 국가들에 대한 수입 재개 절차도 준비할 계획이다. 수급 불안 우려가 있는 봄배추, 양파·파늘 등에 대해서도 출하 시기 조절 등을 통해 가격을 안정시키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선 대기업·중소기업 간 불공정 관행 개선 방안도 논의됐다. 정부는 하청업체에 대한 ‘갑질’ 등 불공정행위가 잦은 업종은 현장 점검을 하고 공정위·산업부·중기청·특허청 등 협업체계를 구축해 효과적으로 감시해 나가기로 했다. 세부 추진 방안은 오는 19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할 계획이다.

/세종=서민준기자 morandol@sedaily.com

서민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