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방송·연예

‘다큐공감’ 갑배마을 할머니들, 따뜻한 봄맞이 풍경…‘산나물 연정’

‘다큐공감’ 갑배마을 할머니들, 따뜻한 봄맞이 풍경…‘산나물 연정’




15일 방송된 KBS1 ‘다큐공감’에서는 ‘산나물 연정’ 편이 전파를 탔다.


봄마다 처녀들은 왜 가슴이 설랬을까. 주름은 깊고 손톱은 닳았는데, 어쩌자고 봄만 되면 기분은 처녀마냥 피어오를까.

복숭아꽃, 살구꽃, 진달래꽃이 올해도 어김없이 피어나고 갑배마을 여인들은 꽃구경 가자는 말 대신 나물바구니 옆에 끼고 산으로 오른다.

나물바구니만 옆에 끼면 엄마 손잡고 고갯길 넘던 어린 계집아이도 되고, 동무 따라 나물 캐던 철부지 소녀도 되는, 칠십 년 넘게 설레는 봄.

온천지에 봄, 지천에 봄빛, 고사리, 쑥부쟁이, 참나물, 오가피순, 가죽나물로 돋아나는 산골 여인들의 봄 이야기를, 바구니마다 가득 따 담은 산나물 향기에 실어서 전한다.

▶ 갑배마을 뒷산에 할미꽃이 피었다

진달래는 아직 만발하기 전이고 개나리도 활짝 피려면 시간이 필요한데, 경북 울진 백암산 건너편 양지바른 기슭에 알록달록 꽃이 피었다. 빛바랜 두렁에 돋아난 연초록의 쑥을 캐러, 검불 위로 솟아오른 여린 고사리를 꺾으러, 갑배마을 할머니들이 알록달록 양지마다 앉았다.



아들에게 보낼 달래도 캐고, 딸에게 보낼 머위 잎도 뜯고, 손녀 좋아하는 두릅도 따는 할머니들, 자식에게 더 보내고 싶은 마음에 욕심껏 산나물을 뜯다가도 연분홍 진달래를 보면 눈길을 빼앗기고 무덤가에 피어난 할미꽃에 마음도 빼앗기며, 일흔 혹은 여든 해가 넘도록 해마다 더 설레는 마음으로 봄을 맞고 있다.

▶ “자고 일어나면 저 집 문 열렸나 안 열렸나부터 봐.”


햇볕 잘 드는 땅을 골라 마련한 산비탈 밭, 할머니 두 사람이 극젱이질을 한다.

관련기사





“앞에서 끄는 저이가 영감인 셈이지, 내가 할마이고.”



소처럼 앞에서 극젱이를 끌고 가는 사람은 차분조(77) 씨, 뒤에서 극젱이 날이 깊이 박히도록 힘을 주는 사람은 김순자(74) 씨다.

갑배마을 소문난 짝꿍으로 통하는 두 할머니, 3년 차이를 두고 한 동네에 나란히 자리 잡은 ‘아재-조카’ 사이인 집에 시집을 와, 앞서거니 뒤서거니 자식도 육남매 칠남매씩 낳아 키웠고, 앞서거니 뒤서거니 영감님도 산으로 먼저 보냈고, 앞서가며 뒤에 가며 서로의 밭을 갈아준다.

봄도 찾아오는데 시간이 한참 걸리고, 종일 버스 한 대 들어오지 않는 산골 마을에 살지만 앞집 뒷집 서로 의지할 동무가 있는 할머니들은 새로 봄이 오면 새로 할 일이 생겨 이 봄이 여전히 반갑다.

▶ “쓴 나물 데온 물이 고기도곤 맛이 있어”

젊은 시절엔 고개가 꺾이도록 산나물을 캐서 머리에 이고 왔었다. 그렇게 캐온 산나물은 먹을 것이 없던 시절 식구들 양식이 되었고, 돈벌이가 없던 시절 자식들 월사금도 되었다.

쌀은 먹고도 남아도는 시절이 되고 자식들은 도시에 나가 제 앞가림 하며 살기 바쁜데, 갑배마을의 할머니들은 여전히 산에 오른다. 올해도 어김없이 산나물을 뜯는다. 쌀도 흔하고 고기도 흔해진 시대에 새로 찾아온 봄의 맛을, 그리운 고향의 맛을 자식들에게 보내준다.

고향에서 보내온 산나물 택배, 그 속엔 어머니의 설레는 봄이, 자식에 대한 연정이 고이 들어 있다.

[사진=KBS 제공]

/서경스타 전종선기자 jjs7377@sedaily.com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