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3월 한·중 노선 항공 여객 22.5% 감소…中사드보복 관련 긴급지원책 마련

중국 의존도 큰 제주·청주·무안공항, 국제선 실적 40% 이상 감소

항공사 노선 다변화, 여행사 인센티브 확대 등 지원책 실행

전반적인 국제·국내 여객은 8.9% 증가...항공화물은 10.1% 늘어

◇지역별 국제 여객 추이 (단위:명)  자료:국토교통부◇지역별 국제 여객 추이 (단위:명) 자료:국토교통부




중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보복 여파로 올 3월 한·중 노선 항공 여객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정부는 이에 대한 긴급지원책을 실행하기로 했다.


1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 3월 한·중 노선 항공여객은 113만4,261명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5% 줄었다. 일본(22.8%), 동남아(23.1%), 유럽(24.1%) 노선의 항공 여객이 큰 폭으로 늘어 전체적인 국제여객(607만명)이 9.6% 늘어나 3월 기준 최고 실적을 달성한 것과 대조적이다.

중국의 한국행 단체여행 판매 제한 조치가 큰 영향을 미쳤다. 조치가 취해진 3월15일부터 31일까지 중국 노선은 37.3%나 줄었다. 특히 중국노선 비중이 높은 제주(-58.7%), 청주(-57.3%), 무안(-40.7%) 등 지방공항의 국제선 실적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항공 수요를 회복하고 업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공항공사, 지자체 등과 함께 긴급 지원대책을 실시한다. 이번 대책에는 항공사의 노선 다변화 지원, 여행사·여행객 대상 인센티브·마케팅 확대, 공항 면세점 등 상업시설 피해 최소화 방안 등이 포함됐다.


우선 국적 항공사들이 중국 대체노선으로 취항하거나 증편하기를 희망하는 태국, 대만 등과 항공회담을 열어 운수권을 더 확보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 국장급 인사가 이날 곧바로 태국으로 날아가 운수권 확대 문제를 협의할 계획이다. 대만과는 5월에 협의를 추진한다.

관련기사



또 운수권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운항해야 하는 중국 운수권 의무사용기간을 20주에서 10주로 일시 완화한다. 기존에는 20주 동안 중국 노선을 운항하지 않으면 운수권을 뺏기는 데 중국 노선 운항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현실을 감안해 이를 10주로 줄여 부담을 완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중국 항공사가 운항을 취소하면서 반납한 슬롯(시간당 항공기 이착륙 횟수)은 동남아, 일본 등 신규 노선에 탄력적으로 제공한다.

지방공항에서 국제선 전세편을 유치하는 여행사에 지급됐던 지원금도 연간 최대 1,500만원에서 최대 10억원으로 대폭 확대한다. 여행사가 국제선 전세편 1회를 유치하면 편당 250만원을 지원하는 데 이 횟수를 늘리는 조치다.

공항 면세점 등 상업 시설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인천공항공사와 한국공항공사가 경품 제공,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벤트, 선불카드 제공 등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구본환 국토교통부 항공정책관은 “최근 감소된 항공 수요를 조속히 회복하고 우리 항공시장의 체질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항공노선의 다변화가 중요하다”며 “업계 등과 긴밀하게 협력해 보다 빠르게 항공 수요가 회복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올 3월 국제여객(607만명)과 국내여객(244만명)은 851만명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9% 늘었다. 항공화물은 10.1% 증가한 38만톤을 기록했다.

/세종=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