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공기업

잔돈, 카드에 적립한다…'동전 없는 사회' 시범사업 시작

한은, “소비자 불편 줄이고, 사회적 비용 절감한다는 취지”

20일부터 ‘동전 없는 사회’ 시범 사업이 시작된다./한국은행20일부터 ‘동전 없는 사회’ 시범 사업이 시작된다./한국은행


물건 구매 시 거스름돈을 받는 대신 교통카드 등에 적립하는 ‘동전 없는 사회’ 시범사업이 20일부터 실시된다.

19일 한국은행은 “동전 사용·휴대에 따른 국민들의 불편을 완화하고 유통·관리에 들어가는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추진 중인 ‘동전 없는 사회’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동전 없는 사회 사업이 이뤄지면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물건을 사고 생긴 잔돈을 교통카드 등 선불전자지급수단에 적립할 수 있다. 시범사업은 20일부터 전국적으로 실시되며 CU, 세븐일레븐, 위드미, 이마트, 롯데마트 등 5개 유통업체 2만 3,000여개 매장에서 거스름돈을 적립할 수 있다. 선불사업자는 한국스마트카드(T-머니), 이비카드(캐시비), 신한카드, 하나카드, 롯데멤버스, 네이버, 신세계I&C 등 7곳이다.

다만 일부 선불업자는 전산시스템을 정비해야 하기 때문에 당장 참여하지는 못한다. CU 매장에서 신한카드는 5월 중 적용되고 세븐일레븐에서 롯데멤버스 카드는 7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지난해 1월 한은은 2020년까지 동전 없는 사회를 구현한다는 방침을 발표한 바 있다. 한은은 거스름돈을 선불전자지급 수단에 적립할 경우 동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비자들의 불편이 줄어들 것이라 설명했다. 또 한은은 동전 제조 및 유통에 들어가는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매년 동전 제조에 필요한 비용은 600억에 달한다.

관련기사



한은은 대상 업종을 약국으로 넓혀가는 등 사업 확장에 힘쓸 계획이라 밝혔다. 다만 재래시장 등 선불카드를 쓰기 어려운 곳으로 사업을 확장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한은 관계자는 “재래시장이나 노점상 등에서 사업을 진행하기 당장은 어렵다”며 “지금으로선 방법을 찾고 있는 단계이나 무리 없이 적용하는 방안을 고민 중”이라 밝혔다.

일각에서는 동전 없는 사회 사업이 확장됨에 따라 자판기, 코인 노래방 등과 관련한 사업자들이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우려를 표하고 있다. 또 동전이 없어지면서 물건 가격이 1,000원 단위로 책정돼 소비자물가가 상승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조은지 인턴기자 ejee@sedaily.com

조은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