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렌딧, 대부업 이용자 P2P로 바꿨더니 이자율 19%↓

P2P(개인간 거래) 금융이 대출 이용자들에게 금리를 낮춰 가계부채 질적 개선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P2P업체 렌딧이 2015년 5월 대출 서비스 시작 후 지난 3월까지 집행한 2652건(367억원)의 누적 대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대출 목적 1위는 47.6%를 차지한 ‘대환대출(대출을 통해 기존 대출을 갚는 것)’로 나타났다. 뒤를 이어 ▲가계대출 ▲보증금대출 ▲결혼자금 ▲자동차구입 ▲의료자금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대환대출 중에서도 카드론에서 갈아 타는 경우가 52.4%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저축은행 20.8% ▲캐피탈 18.7% ▲대부업 6.9% ▲보험 1.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환대출 고객이 대환 전 부담하던 평균 금리는 20.4%로, 이중에는 30%가 넘는 고금리를 내고 있던 고객도 존재한다. 렌딧을 통해 기존 대출을 대환하며 제공 받은 평균 금리는 11.1%로, 평균 9.3%포인트 감소했다.

관련기사



업권별로 대부업이 대환 전 29.9%에서 대환 후 11.2%로 18.7%포인트 감소해 가장 큰 금리 차이를 보였다. 이어 저축은행이 16.5%포인트, 카드론 6.7% 감소했다.

실제 납입한 이자비용을 2년 약정, 원리금 균등상환 방식으로 가정해 환산해 보면, 전체 대환대출 고객이 대환 전에 부담해야 했던 이자비용은 2년 간 총 35억7,000만원이다. 렌딧을 통해 대환한 후에는 2년 간의 이자비용이 19억4,000만원으로, 총 16억3,000만원의 이자를 절약할 수 있었다.

김성준 렌딧 대표는 “대환대출 뿐 아니라 대환 목적 이외의 대출에서도 타업권과 비교해 확연히 낮은 금리로 대출을 집행했다”며 “앞으로 더욱 정교하고 합리적인 중금리대출을 제공해 가계부채의 질적 개선 효과를 더욱 높여 가겠다”고 말했다.

이주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