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경유 등 석유제품 수출 1Q 기준 사상 최대

사드 배치 불구 중국 수출량 큰 폭 증가

수출액 74억弗…6분기 만에 70억달러 재돌파

국내 정유사들의 석유제품 수출이 1·4분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반도 배치에도 중국 수출물량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대한석유협회는 26일 SK에너지와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사의 올해 1·4분기 석유제품 수출량이 1억1,778만2,000배럴로 역대 1·4분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이전 최대치를 기록했던 지난해 1분기 수출량 1억1,064만배럴보다 6.5% 증가한 규모다.

석유제품 수출액 또한 74억5,800만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66.0% 증가했다. 국제 유가 상승에 따라 수출단가가 지난해 1분기 배럭당 40.6달러에서 63.3달러로 높아졌기 때문이다. 분기 기준 수출액이 70억달러를 돌파한 것은 2015년 3·4분기(74억8,000만달러) 이후 처음이다.


수출량 증가에 힘입어 1·4분기 우리나라 주요 수출품목 순위에서도 석유제품이 반도체, 일반기계, 석유화학, 자동차에 이어 5위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최대 석유제품 수출국은 중국으로 2,172만배럴을 수출해 전체 수출량의 18%를 차지했다. 사드 배치 문제로 우려했던 중국 수출 감소는 기우였다. 올해부터 중국 전역에서 경유의 황 함량 기준이 10ppm으로 강화되면서 중국 내 저유황 고품질 경유 공급이 부족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 뒤로는 싱가폴(15%), 호주(12%), 일본(9%), 대만(8%), 미국(7%) 순이었다.

석유제품별로는 경유가 전체의 37%인 4,327만7,000배럴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휘발유(19%), 항공유(19%), 나프타(10%) 순으로 고부가가치 경질유 수출이 많았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1·4분기 정유공장 가동율이 101.9%로 지난해보다 4.1%포인트 증가했다”며 “유가회복세에 힘입어 가격 경쟁력 추구, 고품질 제품 생산 전략 등을 통해 수출을 늘릴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