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 60만 단독주택지 맞춤식 재생 통합관리 로드맵 나왔다

27일 60만호 단독주택지 도시재생개선계획 용역 최종보고회

부산시가 60만호 단독주택지를 통합 관리하는 새로운 주거정책 로드맵을 마련했다. 지역 특성에 맞는 다·복·동 마을활력단 인력을 양성하고 신재생에너지를 도입하는 등 마을 공동체를 유지하면서 열악한 주거 환경을 개선한다는 게 골자다.

부산시는 27일 오전 10시 30분 시청 회의실에서 60만호 단독주택지 통합관리를 위한 ‘60만호 단독주택지 도시재생개선계획 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이번 사업은 부산의 단독주택이 60만호(다세대 포함)에 달하다보니 전면철거 위주의 물리적 정비에서 벗어나 지역 맞춤형 물리적 재생으로 마을공동체를 부활시키는 사회적 재생을 통해 단독주택지를 통합 관리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용역에는 단독주택지 관리를 위한 유형으로 △지형별(평지/ 경사지) △형성배경별(계획적/ 자연발생적) △기반시설 상태별(양호/열악) △건축밀도별(중저밀/고밀) 등 4가지로 구분했으며, 이를 적용해 부산의 205개 행정동을 16개 유형으로 분류해 각각의 관리방안을 제시했다. 시범대상지 3곳은 설문조사를 통해 공용주차장·CCTV 등 주민의 요구사항을 받기도 했다.

관련기사



이에 맞춰 부산시는 물리적·사회적 환경 재생 계획을 수립하고 경사지나 평지 도로의 가로등·보안등 등에 대해 스마트 도시 및 신재생에너지를 도입하기로 했다.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도 구축한다. 또 지속가능한 커뮤니티활성화를 통한 지역 특성 맞춤형 통합재생을 위해 ‘다·복·동 마을활력단 인력 양성’이란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마을에 있는 통장을 중심으로 주민 요구(needs)에 맞게 하드웨어 중심의 상향식 정책으로 추진하고 인적자원 확보의 중요성 인식해 사람중심의 공동체 회복을 추구하자는 취지에서다.

부산시 관계자는 “대표적 주거정책의 하나로 추진되는 이번 사업은 60만호 단독주택지 통합관리 용역을 통해 부산시의 단독주택지 관리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했다”며 “이를 통해 단독주택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고 더불어 주민간의 마을공동체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라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