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사드 배치 하루만에 실전운용] 北에 대화 강조...韓엔 사드보복 고삐...中 '한반도 정책' 원점으로?

대북 기조 강경서 유화책 시도

한국산 수입 금지 품목은 늘려

북한에 초강경 압박 공세를 펼쳤던 중국이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이 유보되고 한반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가 가속화하자 한반도 정책을 다시 원점으로 되돌리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북한에는 “강경 제재보다 협상 테이블로 이끌기 위한 당근이 필요하다”며 대화를 강조하는 반면 한국에는 “사드 배치로 중국의 등에 비수를 꽂았다”며 보복조치 고삐를 다시 조일 태세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는 27일 사설에서 “북한은 핵과 탄도미사일 도발이 우려됐던 25일에 평온했지만 한미 당국은 전격적인 사드 장비 배치로 중국의 배후를 칼로 찔렀다”고 비난하며 “한국은 사드 배치라는 무분별한 행동에 대해 응분의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사드 배치가 속도를 내는 가운데 중국 정부의 파상적 보복조치가 지속될 가능성을 드러낸 것이다.


한동안 잠잠했던 한국 기업에 대한 제재 움직임도 다시 두드러지는 모습이다. 중국 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질검총국)에 따르면 최근 발표된 3월 불합격 수입 화장품·식품 466개 품목 가운데 83개가 한국산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1월 9건과 2월 0건이던 수입 불허 한국산 제품 수가 83건으로 늘어나며 지난해 7월 사드 배치 결정 이후 최대 규모로 치솟은 것이다. 불합격 처리된 한국산 식품·화장품의 무게는 33톤으로 중국 질검총국이 불합격 처리한 전체 수입 식품·화장품 물량의 17.8%에 달했다.

관련기사



중국 군사전문가들은 사드 배치가 본격화됨에 따라 중국군의 군사적 대비 조치를 주문하고 나섰다. 중국 양자국방사무 수석과학자 양청쥔은 환구시보에 “5월 중순 작전 태세에 들어갈 것으로 보이는 사드에 대비해 중국은 군사적으로 상응하는 대응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독일을 방문 중인 왕이 중국 외교부장도 26일(현지시간) 지그마어 가브리엘 독일 외교장관을 만난 자리에서 “한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한미 군사훈련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북한의 추가 도발 자제를 압박하는 한편 북한의 추가 핵 실험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중국 내 분위기도 감지된다. 이날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중국 정부가 북한의 핵실험을 우려해 북중 접경지역에 거주하는 자국 임산부들을 최근 안전지대로 대피시켰다고 보도했다. /베이징=홍병문특파원 hbm@sedaily.com

홍병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