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탈당한 의원들은 유승민 대선후보가 ‘홍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간 3자 단일화’ 제의는 물론 김무성·주호영·정병국 공동 선대위원장이 제안한 홍 후보와의 여론조사 방식 단일화마저 거부하자 집단행동에 나섰다. 이 같은 집단 탈당과 분당사태에 대해 유 후보는 “정말 가슴 아프게 생각한다”면서도 이날 대선후보 TV토론에 참석하는 등 독자 완주 의지를 재차 확인했다. 바른정당 분당 사태가 대선을 목전에 둔 상황에서 일어나 보수진영의 표심 등 선거 전체 판세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현재로서는 미지수다.
문제는 이 같은 집단행동의 정치적 명분과 정당인의 기본인 가치 지향이 분명치 않다는 점이다. “보수 대통합을 요구하는 국민의 염원”이라고 했지만 내부경선을 통해 선출된 후보의 의사에 반하는 후보 단일화를 강요하는 것은 절차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것이자 정치 명분으로도 타당치 않다. 또 새누리당으로부터 탈당한 이유가 분명한데 복당하는 이유도 적절치 않다. 결국 과거 한국 정치의 폐습이었던 ‘철새정치’가 또다시 반복되는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는 여론의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우리는 대표적 구태정치로 철새정치 등 오로지 이기기 위한 공학적 이합집산을 꼽아왔다. 이는 또 우리 사회에서 지켜야 할 가치를 보존하겠다는 ‘보수 가치’와도 정면 배치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대선 직전 바른정당에서 일어난 집단 탈당과 한국당 복당은 그들이 주장하는 보수진영을 위한 것일 수 없다. 보수진영 단일화를 진정 원했다면 이들은 끝까지 당에 남아 유 후보를 설득하거나 아니면 그대로 대선 패배를 받아들였어야 마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