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삼성 자율주행車 국내 도로 달린다

국토부, 임시운행 허가

인공지능 딥러닝 적용

구글·애플 추격 본격화





삼성전자가 전자업체 가운데 처음으로 자율주행차 운행허가를 얻어 실제 도로에서 시험운행에 들어간다.


국토교통부는 1일 삼성전자가 개발 중인 자율주행차에 대해 임시운행허가를 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구글의 인공지능(AI) ‘알파고’에 적용된 딥러닝(심층학습) 기술을 기반으로 자율주행차를 임시운행할 예정이다.

삼성전자의 자율주행차 운행허가는 국토부가 지난해 2월 시험·연구 목적의 제도를 도입한 이래 19번째다. 그동안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현대모비스 등 현대차그룹 계열사와 서울대·한양대·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학계에서 주로 신청을 했다. 18번째는 지난 2월 허가를 얻은 네이버 자회사인 네이버랩스였다.


삼성전자의 이번 자율주행차 운행은 구글이나 애플 등 자율주행차 사업에 뛰어든 해외 글로벌 정보기술(IT) 업체들처럼 미래 성장동력을 발굴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관련기사



삼성전자의 자율주행차 운행은 구글이나 애플 등 미래 자율주행차 연구에 먼저 진출한 해외 IT 업체들과 비교해 다소 늦었다. 하지만 삼성전자가 구축해온 하드웨어의 수준을 고려하면 구글 등의 업체들을 빠른 시간 내에 따라잡을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다.

삼성전자의 자율주행차 개발 사업은 2015년 12월 조직개편 때 처음으로 윤곽이 잡혔다. 당시 ‘전장(電裝)사업팀’을 신설하고 “단기간 내 역량 확보를 목표로 초기에는 인포테인먼트, 자율주행 중심으로 역량을 집중하고 향후 계열사 간 협력을 강화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자동차 전장이란 텔레매틱스, 중앙정보처리장치(CID), 헤드업디스플레이(HUD), 차량용 반도체 등 자동차에 들어가는 모든 전기·전자·IT 장치를 말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1월 미국의 전장전문기업 ‘하만’을 9조4,000억원에 인수한다고 깜짝 발표하고 올해 2월 절차를 마쳐 컨넥티드카와 자율주행차 등 미래 자동차와 관련한 전장 사업 진출을 위한 기반을 다졌다.

이번 자율주행차 운행시험은 현대차 ‘그랜저’에 라이다(LIDAR·레이저 레이더), 레이더, 카메라 등 다른 회사의 자율주행 장치를 얹어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이 연구개발 중인 소프트웨어와 알고리즘을 테스트하는 것이다.

다만 삼성은 이번 자율주행차 운행을 자동차 산업에 진출하는 신호탄으로 해석하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삼성전자 고위관계자는 “하만을 인수하면서 삼성은 완성차가 아닌 전장 부품 쪽으로 미래 사업 방향을 정한 것”이라며 “이번 자율주행 운행허가 신청은 사내 종합기술원이 중장기 미래 먹거리를 찾기 위한 선행연구 차원에서 한 것일 뿐 완성차 시장 진출과는 무관하다”고 말했다. /강광우기자 pressk@sedaily.com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