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4월 외환보유액 3,765억달러…역대 두 번째 규모로 많아

달러 약세로 원화 가치 상승해 보유 외환 평가액 늘어



6개월째 이어지는 수출 호조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3,765억달러를 넘어 역대 두 번째를 기록했다. 최근 약세를 보인 달러화 등 주요 통화의 환산액이 증가한 영향이 컸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2017년 4월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지난달 외환보유액은 전월대비 12억7,000만 달러 증가한 3,765억7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던 지난해 9월(3,777억7000만 달러)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다.

이는 달러 약세로 인해 원화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면서(절상) 우리가 가진 외환의 평가액도 뛰었다. 유로나 파운드 등 달러 이외 통화로 표시된 자산을 미국 달러로 계산한 금액도 늘었기 때문이다. 4월 한 달 간 유로 가치는 달러화에 대해 1.7%, 파운드화는 3.4% 올랐고, 엔화는 0.5% 상승했다. 반면 주요 6개국 통화를 대상으로 산정한 미 달러화 지수는 1.3% 하락했다.


한은은 “외환보유액 가운데 약 70%가 미 달러, 30%가 유로, 파운드, 엔화 등 기타 통화가 차지하고 있다”며 “30%에 해당하는 자산들의 미 달러화 환산액이 커지면서 전체적인 규모가 늘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외환보유액의 구성은 유가증권이 3,393억2만 달러로 전체의 90.1%였고 예치금이 277억7만 달러로 7.4%를 차지했다. 이외에 금(47억9,000만 달러·1.3%)과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29억5000만 달러·0.8%), IMF에 대한 교환성통화 인출권리인 IMF포지션(17억4.000만 달러·0.5%) 등을 보유했다.

3월 말을 기준으로 한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3,753억 달러) 규모는 세계 8위로 전월과 동일했다. 1위는 3조91억 달러를 보유한 중국으로 전월대비 40억 달러 증가했고 2위는 일본으로 1조2,303억 달러, 3위는 스위스로 7,304억 달러, 4위 사우디아라비아는 5,086억 달러를 보였다. 이어 5위는 대만(4,375억 달러), 6위는 러시아(3,979억 달러), 7위는 홍콩(3,956억 달러)이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