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인수위 대신할 대통령 직속 자문위]국정안정 위한 임시사령탑 역할

운영시한 인수위와 비슷할 듯

제19대 대통령선거 당선인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없이 곧바로 임기를 시작해야 한다. 이 때문에 신임 대통령은 임기 초반 혼란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국정 운영의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대통령 직속 자문위원회를 설치해 새 정부의 살림살이를 위한 준비작업에 돌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8일 정치권에 따르면 10일 출범하는 새 정부는 정부조직법과 행정기관 소속 위원회의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행정자치부 장관과 협의해 인수위원회와 성격이 유사한 기획자문위원회를 구성할 수 있다. 현행법과 대통령령에 따라 설치되는 대통령 직속 자문위원회는 국회 의결을 따로 거칠 필요가 없다.


국회 의사과의 한 관계자는 “이 기구는 예산도 받을 수 있으며 대통령이 어떤 분야에 대해 자문을 해달라는 요청을 할 수 있다”며 “내각이 구성되거나 청와대 비서실이 꾸려질 때까지 준비작업을 이 기구를 통해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다만 신임 대통령이 자문위원회를 설치하려면 먼저 이와 관련한 시행령을 제정한 뒤 시행령을 바탕으로 자문위원을 위촉해야 한다. 당선 직후 곧바로 구성되는 인수위원회와 달리 일정한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시행령에는 △설치 목적·기능 및 성격 △위원 구성 및 임기 △존속 기한 △위원 결격 사유 △회의 소집 및 의결정족수 등이 명시되며 이를 통해 자문위원회 활동의 법적 근거가 마련된다. 그동안에는 인수위원회를 대신하기 위한 자문위원회를 설치한 전례가 없어 운영시한이 어떻게 결정될지는 미지수다. 국회 관계자는 “전임 정부들이 운영한 인수위와 비슷하게 시한이 정해지지 않겠느냐”고 예측했다.

이명박 전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통령은 당선 직후 구성된 인수위원회에서 각각 59일, 48일 동안 새 정부 출범을 위한 준비작업을 진행했다.

앞서 정세균 국회의장과 교섭단체 4당 원내대표들은 지난 3월30일 대선 이후 45일간 인수위원회에 준하는 기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관련법을 개정하는 문제를 논의했으나 합의에 실패한 바 있다.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