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수출 호조에도 성장률은 스톱

IMF "올 韓 성장률 2.7%서 정체"

정치적 불확실성에 소비 약세 탓

이창용 IMF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장. /서울경제DB이창용 IMF 아시아태평양 담당 국장. /서울경제DB


국제통화기금(IMF)이 수출 호조로 국내 경제 여건이 좋아졌지만 정치적인 불확실성으로 내수 회복이 지연되면서 성장률은 더 개선되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IMF는 8일(현지시간) 싱가포르에서 발표한 ‘2017 아시아·태평양 지역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달과 같은 2.7%로 유지했다. 전망을 유지한 이유는 대통령 탄핵 사태와 조기 대선 등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political uncertainty)’과 부진한 내수 소비를 지목했다. IMF는 “한국의 올해 성장률은 최근 수출 개선에도 불구하고 소비 약세 탓에 2.7%에 정체돼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지난달 중순 IMF는 ‘2017 세계 경제전망’ 보고서를 발표하고 한국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을 지난 3월의 2.6%에서 1개월 만에 2.7%로 0.1%포인트 상향 조정한 바 있다.


IMF는 아태 지역 경제가 여전히 견실한 것으로 평가하면서 전체 성장률 전망치도 5.5%로 유지했다. 이창용 IMF 아태 담당국장은 “아태 지역의 성장 징후가 현재까지는 고무적”이라며 “이 지역이 직면한 정책적 시험대는 이런 모멘텀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다만 미국이 하반기 최소 두 차례 이상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전망이 아태 지역에 인플레이션 압박 요인으로 작용하는 점은 경계했다. 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부활하는 ‘보호무역주의(protectionism)’가 무역 의존도가 높은 아시아 경제에 타격을 주는 데 더해 지정학적 긴장 상태를 높여 단기적으로 성장을 저해할 가능성도 제기했다.

IMF는 중국과 일본의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도 각각 6.6%와 1.2%로 지난달 세계 경제 성장률 발표 수준을 유지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