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문재인 정부 내각구성 완료 전까지 차관중심 내각 운영

홍남기, 18일 차관회의 주재…장관임명 한달 이상 소요

국무회의 대신할 차관회의서 정책 로드맵 조정·검토

홍, 국정기획자문위 부위원장 맡아 청와대·부처 가교 역할

이낙연 "외교·안보 라인은 빨리 갖춰져야"

새 정부의 장관 인선이 일러야 다음달 후반께 완료될 예정인 가운데 당분간 각 부처는 차관 중심 체제로 국정이 운영될 것으로 전망된다. 문재인 정부는 조기 대선에 따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없이 출범한 만큼 국무회의를 대신할 차관회의를 통해 국정 공백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17일 청와대 및 정치권에 따르면 홍남기 국무조정실장은 18일 오후 첫 차관회의를 주재한다. 국무조정실장은 각 부처의 차관으로 구성된 차관회의 의장으로서 차관회의를 소집하고 주재할 수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1일 황교안 국무총리의 사표를 수리하면서 홍 실장을 서둘러 임명한 것 역시 당분간 내각을 차관 중심 체제로 운영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관련기사



국회 인사청문회 일정을 감안하면 장관 임명은 앞으로 한 달 이상 소요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홍 실장은 내각 구성이 완료되기 전까지 실질적인 국무회의나 다름없는 차관회의를 통해 새 정부의 정책과제를 조정·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과 총리가 참석해 상정된 안건을 통과시키는 데 무게를 두는 국무회의와 달리 차관회의에서는 실질적 토론이 가능하다. 홍 실장이 각 부처에 정부정책의 핵심 기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알리는 자리가 만들어지는 셈이다. 문 대통령이 홍 실장을 사실상 인수위원회 역할을 대신하는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부위원장에 앉힌 것도 청와대와 부처 간 가교 역할을 해달라는 주문이라는 해석이다.

새 내각 구성을 위해 국무총리 권한대행인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국무위원 임명 제청권을 활용하는 방안도 거론되지만 그 폭은 외교·안보 분야 등 소규모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 이낙연 총리 후보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장관 임명 제청권은 청와대가 정리해서 설명을 하셔야 될 일”이라면서도 “외교·안보 라인은 빨리 갖춰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나윤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