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농진청, 흑염소 胃에서 사료첨가제·세제 만드는 ‘효소’ 발굴

농촌진흥청은 한국재래흑염소의 위(胃)에서 사료첨가제와 세제로 바로 활용할 수 있을 만큼 분해 능력이 뛰어난 효소 유전자 55개를 발굴, 유전공학기법을 통한 이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확보했다고 17일 밝혔다.

이에 따라 천연세제, 프리바이오틱스 등 기능성 식품소재와 2세대 바이오에너지 생산과 같은 다양한 산업분야의 원천소재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효소 34종은 특허등록하고, 11건은 미생물 배지와 효소를 만드는 산업체에 기술을 이전했다고 농진청은 설명했다.

흑염소는 풀을 먹고 되새김질을 하는 가축 가운데 매우 거친 먹이에 적합하도록 진화했다. 덕분에 되새김 위(반추위) 미생물에서 각종 분해 효소를 풍부하게 분비한다.


농진청은 볏짚 사료만으로 사육한 한국재래흑염소 위에서 반추 위액과 소화물의 미생물 DNA를 채취하고 다시 이 DNA를 추출해 얻은 유전자 조각을 실험용 대장균에 넣어 ‘유전자은행’을 만들었다.

관련기사



‘유전자은행’에서 발굴한 섬유소분해 효소의 활성을 확인한 결과 1∼50units/mg 정도의 활성을 보였다. 특히 특정(KG51) 효소의 경우 널리 쓰이는 트리코더마 레세이(Trichoderma reesei) 섬유소분해 효소보다 2배 강한 활성을 나타냈다. 국내 산업용 효소시장은 연간 1,000억원 규모(약 7,000톤)로 95% 이상을 수입하고 있다.

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최유림 축산생명환경부장은 “이번 성과는 축산미생물 자원을 활용한 생물신소재 개발의 신호탄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축산미생물의 활용성을 극대화하도록 산업체와 협의해 기술이전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