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문희상 특사 "日, 위안부 합의 문제에 한국정서 이해한다 말해"

"양국 슬기롭게 극복키로"

재협상·제3의 길 모색할듯

문재인 대통령의 특사로 일본을 방문했던 문희상(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20일 오후 김포공항을 통해 귀국,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의 특사로 일본을 방문했던 문희상(가운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20일 오후 김포공항을 통해 귀국,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정부의 대일특사단 파견 이후 일본이 한일 위안부 합의 문제에 대해 공감하고 한국과 이 문제를 원만하게 풀어가기로 해 양국이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일 위안부 합의 문제는 그동안 한일관계의 악재가 되면서 양국 관계 발전의 발목을 잡아왔다. 국민 정서와 국내 정치 상황 등을 고려해 어느 쪽도 물러설 수 없는 문제였다. 특사단 방일 이후 양국 모두 만족할 만한 해법을 찾기로 해 얼었던 양국 관계도 점차 풀릴 것으로 기대된다.


문재인 대통령의 대일 특사 활동을 마치고 귀국한 문희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20일 김포공항을 통해 귀국하면서 위안부 합의 재협상 논란에 대해 “재협상이라기보다는 (한일이) 미래지향적으로 슬기롭게 극복하자는 데 의견 합의를 봤다”며 “(위안부 합의 문제 해결이) 잘 될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어 “우리도 (기존 합의를) 파기하자는 말은 안 했고 다만 우리나라 국민이 정서적으로 합의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전달했고 (일본도) 그 취지를 이해한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위안부 합의) 문제가 쟁점이 돼 한일관계의 틀이 무너지거나 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의원의 말은 기존 합의 유지나 파기 또는 재협상이 아닌 새로운 해법을 모색하기로 양국이 의견을 모은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문 의원이 방일 기간 아베 신조 총리와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 등 일본 주요 인사들을 두루 만난 뒤 이를 언급, 양국이 치열한 물밑작업 끝에 이러한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양국이 이른 시일에 정상회담을 개최하기 위한 실무진 협의에 들어가기로 하면서 위안부 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논의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류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