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올해 여름, 작년과 같은 기록적 폭염은 없을 듯"

/연합뉴스/연합뉴스


올해 여름에도 무더위와 열대야가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되지만 작년과 같은 이례적인 폭염은 나타나지 않을 전망이다.

23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 여름철 기온은 6월에는 평년보다 높고 7·8월에는 평년과 비슷하거나 높아 전반적으로 예년보다 더 덥고 폭염과 열대야 일수도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작년처럼 기록적 폭염이 나타나지는 않을 것이라고 기상청은 내다봤다.

기상청은 티베트고원에 쌓인 눈을 그 근거로 들고 있다. 작년 국내에 최악의 폭염이 강타했던 것은 중국 대륙에 뜨겁고 건조한 고기압인 열적고기압이 생성돼 장기간 영향을 준 탓이다. 중국 대륙의 열적고기압 세력은 티베트고원에 눈이 얼마나 쌓여있는지에 큰 영향을 받는다.


눈이 적게 쌓여 있으면 태양빛, 지표가 일사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공기가 가열되며 고온지대인 만큼 가열된 공기가 팽창해 고기압으로 발달한다. 반면 눈이 많이 쌓여 있을 경우 지표가 데워지지 않기 때문에 고기압 세력이 만들어지기 어렵다.

관련기사



올해 이 티베트고원에 눈이 많이 쌓여 있어 중국의 열적 고기압이 작년만큼 발달하지 못할 것으로 관측된다. 김동준 기상청 기후예측과장은 “올해 티베트고원과 중국의 상황을 고려하면 작년처럼 강한 고기압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힘든 환경으로 판단돼 지난해처럼 강력한 폭염이 나타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작년의 경우 8월의 평균 폭염(일 최고기온 33도 이상) 일수는 16.7일로, 기상청이 현재와 같은 관측망을 구축한 1973년 이후 가장 많았고 전국 평균기온(26.7도)은 1973년 이후 네 번째로. 평균 최고기온(32.0도)은 두 번째로 높았다. 작년 역대 최악의 폭염이 나타났던 것은 일본 동쪽의 북태평양고기압 영향으로 기압계 흐름이 정체된 가운데 중국 대륙의 뜨거운 고기압(열적고기압)으로 가열된 공기가 국내 상공으로 유입됐던 탓으로 분석됐었다.

/김민제 인턴기자 summerbreeze@sedaily.com

김민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