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비수기 사라지는 항공시장…6월 출국자수 급증

LCC 노선 경쟁

비수기 프로모션 강화 영향

항공 시장에 비수기가 사라지고 있다. 비용을 아끼고 번잡함을 피해 이른 여름휴가를 떠나는 이른바 ‘스마트 컨슈머’가 급속하게 늘고 있기 때문이다. 저비용항공사(LCC) 노선 공급 확대와 마케팅 경쟁도 한몫했다.



23일 제주항공이 한국관광공사가 집계한 출국자수 통계 결과 2012~2016년 5년간 6월 출국자 수는 연평균 12.5% 증가했다. 2015년 6월 출국자 수는 137만3,551명에서 지난해에 177만8317명으로 1년 새 29.5% 급증했다. 이 같은 현상은 항공사 예약률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제주항공의 올해 6월 국제선 주요 노선 예약 상황을 보면 일본 후쿠오카와 사이판 노선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10%포인트와 3%포인트 높은 75%와 80%의 예약률을 기록하고 있다. 후쿠오카 노선 좌석 공급량은 지난해 대비 76%, 사이판은 2배 늘었음에도 예약률은 상승세다. 이밖에 일본 오사카 노선은 지난해 5월 1만1,160석에서 올해 6월에는 2만5,662석으로 1만4,502석이 늘어 2.3배 증가했다. 나고야 노선도 공급석이 2배 늘었지만, 예약률은 전년과 비슷한 62%을 기록하고 있다.


이른 여름휴가 트렌드는 여행사의 해외여행상품 판매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하나투어에 따르면 지난해 6월 23만8,000명이 상품을 이용했는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6만4000명) 45% 증가한 것이다. 또 2015년 6월 전년 대비 13% 증가했던 것에 비교하면 3배 이상의 증가율을 보였다. 2014년 6월 해외여행 수요가 같은 해 7~8월 대비 81%를 차지했던 것에 반해 지난해 6월에는 84%의 비중을 차지해 비수기로 분류되던 6월 여행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관련기사





업계에서는 항공시장에 성수기와 비수기 구분이 사라지는 것에 대해 LCC 보급 확대 등이 주요 이유로 보고 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여름 휴가철 승객 유치를 위한 다양한 프로모션이 LCC 취항이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6월까지 확대된 것”이라며 “항공사 입장에서는 비수기 수요 유발을 통해 고객을 확보하고, 소비자들은 실속 있는 여름휴가를 즐길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제주항공은 소비자 행태변화에 따라 인천공항에서 출발하는 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등의 일본노선 증편을 진행한다. 주 28회 운항중인 인천~도쿄(나리타) 노선을 주 31회로 증편하고, 오사카 노선은 주 28회에서 32회, 후쿠오카는 주 17회에서 20회로 늘렸다. 제주항공은 6월 휴가를 계획하는 소비자를 위해 ‘JJ멤버스위크’ 특가 항공권 프로모션을 29일까지 진행한다. 제주항공 리프레시 포인트 멤버십에 신규가입하고 29일 오후 5시까지 예약하면 100포인트(1000원상당) 제공과 함께 곧바로 사용 가능한 국내선 1만원, 국제선 3만원 할인쿠폰을 제공하는 이벤트도 진행중이다.

강도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