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5·18 당시 총탄 자국 남은 옛 전남도청 현판 원형 복원해야"

전남도의회 우승희 의원

전남도청 기록관에 보관 중인 현판/연합뉴스전남도청 기록관에 보관 중인 현판/연합뉴스


5·18민주화운동 당시 총탄 자국이 남아있는 옛 전남도청 정문 현판을 원래 있던 자리에 부착해 복원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남도의회 우승희 의원은 23일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현 전남도청(전남 무안)에 보관 중인 현판은 5·18민주화운동 당시 총탄 자국이 그대로 남아 역사적 가치가 크다”며 “현판 복원은 5·18 최후 항쟁지인 전남도청(광주 동구 금남로) 현장을 원형 복원하는 상징적 조치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옛 전남도청 현판은 지난해 9월 ‘옛 전남도청 원형복원을 위한 범시도민 대책위원회’ 출범 당시에도 존재 여부를 놓고 관심을 끈 바 있다고 우 의원은 전했다.


현판은 2005년 10월 도청이 광주에서 전남으로 옮겨질 당시 떼어져 현 도청의 수장고에 보관됐다. 이후 관리번호 ‘행정 박물 2016-122’ 공공기록물로 지정돼 지난해 10월에야 도청 5층 기록관으로 옮겨졌다.

관련기사



우 의원은 “옛 전남도청 본관은 5·18 사적지이자 근대문화 유산인데도 정부의 리모델링으로 상당 부분 훼손됐다”며 “문재인 대통령이 옛 전남도청 원형복원 문제를 언급한 만큼 광주시, 전남도, 대책위, 5월 단체 등은 즉시 협의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18일 5·18 기념사를 통해 옛 전남도청 복원 문제를 광주시와 협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민제 인턴기자 summerbreeze@sedaily.com

김민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