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노화종양세포가 암 전이 촉진한다

노화종양세포는 다양한 기질 분해 효소와  케모카인 을 분비하여 종양의 침윤에 관여한다. /시진제공=한국연구재단노화종양세포는 다양한 기질 분해 효소와 케모카인 을 분비하여 종양의 침윤에 관여한다. /시진제공=한국연구재단


한국연구재단은 박태준 교수·김장희 교수(아주대 의대) 연구팀이 갑상샘암에 존재하는 노화종양 세포가 암세포의 전이를 촉진 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4일 발표했다.

세포노화는 세포의 증식이 영구적으로 정지된 상태이다. 노화는 종양 세포가 악성 종양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아주는 장벽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연구팀은 침윤성 갑상샘암에서 노화 소견을 보이는 종양 세포들이 다수 존재하는 것을 발견하였고, 특히 종양의 침윤 부위에 높은 빈도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또 갑상샘암에 존재하는 노화종양 세포가 암세포의 침윤 및 전이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관련기사



연구결과, 수술로 절제된 갑상샘암 조직에서 노화 종양 세포가 처음 암이 발병했던 곳뿐만 아니라 림프관, 림프샘 전이부위에도 소실되지 않고 다량 존재했다. 환자의 암 조직의 노화 종양 세포에서 종양을 촉진하는 다양한 물질을 분비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 노화종양 세포가 갑상샘암 세포의 이동을 촉진하고 암세포의 침윤을 이끌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확인했다.

박태준·김장희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노화종양 세포를 타깃으로 하는 새로운 항암 치료의 필요성과 신약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교육부·한국연구재단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Nature Communications) 5월 10일 자에 게재됐다.

박태준 아주대 교수/사진제공=한국연구재단박태준 아주대 교수/사진제공=한국연구재단


김장희 아주대 교수/사진제공=한국연구재단김장희 아주대 교수/사진제공=한국연구재단


문병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