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트럼프 예산, 美 공화당 강력 비판 "제2, 제3의 벵가지사건 초래"

미국 공화당 중진인 존 매케인(애리조나) 상원 군사위원장과 린지 그레이엄(사우스캐롤라이나) 상원의원이 23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2018 회계연도(2017년 10월 1일~2018년 9월 30일) 예산안을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매케인 위원장은 국방 예산이 부족하다고 지적하며 예산안은 의회 ‘도착 즉시 사망’이라고 단언했고, 상원 세출위원회 국무·외국작전·관련 프로그램 담당 소위원장인 그레이엄 의원은 국무부 예산 대폭 삭감을 문제 삼으면서 제2, 제3의 ‘벵가지 사건’을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먼저 매케인 위원장은 트럼프 정부가 국방 예산은 6030억달러로 편성해 직전 버락 오바마 정부 때보다 국방예산을 190억달러 늘렸지만 여전히 부족하다고 전했다.


매케인 위원장은 “국방예산 6030억 달러는 우리가 직면한 여러 도전 과제에 맞서는 데 충분하지 않다. 예산안이 의회에 도착했을 땐 이미 사망 상태일 것”이라며 “이 예산안은 군사 대응태세 회복, 군사력 재건 등에 필요한 적절한 자원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그레이엄 의원은 워싱턴포스트에 국무부와 국무부 산하 국제개발처(USAID) 예산이 29.1% 삭감된 데 대해 “지금처럼 국무부 예산안이 삭감된다면 앞으로 아주 많은 벵가지 사건이 발생할 것”이라고 전했다.

벵가지사건은 2012년 9월 리비아의 무장집단이 리비아 벵가지에 있는 미국 영사관을 공격해 대사를 포함한 미국인 4명이 숨진 사건으로, 오바마 정부의 대표적 외교실패 사례.

야당인 민주당이 트럼프 예산안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는 가운데 공화당 내에서도 부정적인 의견이 있어 트럼프 예산안이 의회 승인을 얻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