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정부 "위안부 합의, 국민 다수 수용 못해" 첫 공식화

정부는 29일 한일 위안부합의에 대해 “국민 대다수가 정서적으로 수용하지 못하는 현실을 인정하면서 한일 양국이 공동으로 노력해 문제를 지혜롭게 극복해나가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새 정부가 출범한 후 위안부합의와 관련된 공식 입장이 나온 것은 처음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27일(현지시간) 면담에서 한일 위안부합의에 대한 지지 의사를 밝혔다는 일본 언론 보도를 둘러싼 논란을 계기로 이 같은 공식 입장을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1일 아베 총리와의 통화에서 “우리 국민 대다수가 정서적으로 위안부합의를 수용하지 못하는 게 현실”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날 외교부의 입장은 문 대통령의 표현을 공식화한 것이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기 전까지 외교부는 “한일 합의는 양국 간 합의로서 존중되고 이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관련기사



그러나 일본 정부는 위안부합의문 안에 포함된 ‘최종적·불가역적 해결’을 강조하며 재협상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특히 구테흐스 총장과 아베 총리 간 면담과 관련해서 유엔 사무총장실이 ‘총장이 특정 합의 내용에 대해 의견 표명한 것은 아니었다’고 발표한 점을 강조했다. 당국자는 “유엔 사무총장은 그동안 회원국 간 이견이나 분쟁 사안에 대해 원칙적으로 양측 협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것을 지지해왔다”면서 “구테흐스 총장의 언급도 (한일 위안부합의가 아닌) 양국 간 협의에 의한 문제 해결 방식을 지지한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박효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