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靑 '인선 새 기준' 제시…'이낙연 인준안' 처리될까

靑 '인선 새 기준' 제시…2005년 이후 위장전입자 배제

與, 인준안 처리 촉구...野 당내 의견수렴후 입장 정리

정세균 국회의장과 여야 4당 원내대표 /연합뉴스정세균 국회의장과 여야 4당 원내대표 /연합뉴스


청와대가 29일 인선의 새 기준을 제시함에 따라 이낙연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 처리를 둘러싼 여야 대치가 완화될지 주목된다.

전병헌 청와대 정무수석은 이날 정세균 국회의장 주재로 열린 4당 원내대표 회동에서 향후 인사청문 대상자에 대해 위장전입 등 ‘사전 검증’을 강화하겠다는 내용의 새 기준을 제시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해명과 함께 재발방지책 제시 등 야당의 요구 중 재발 방지책 카드를 먼저 꺼내 들며 협조를 구한 것으로 분석된다.

청와대는 구체적으로 장관 인사청문회 제도가 도입된 2005년 7월 이후 위장전입 관련자는 국무위원 후보자에서 배제하겠다고 밝혔다. 2005년 7월 이전이더라도 투기성 위장전입에 대해 사전 검토를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여야는 이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국회에서 세부적인 기준을 마련하자는 데도 일정한 공감대를 형성했다.


그러나 이 후보자 임명동의안 처리에 나설지를 놓고서는 시각차를 보였다. 민주당은 청와대가 야권의 요구를 전폭적으로 수용한 만큼 인준 절차에 돌입하자는 입장이지만,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등 야권은 당내 의견을 수렴해 보겠다며 유보적인 태도를 보인 것이다.

관련기사



4당 원내대표 회동에서 국민의당 김동철 원내대표는 의원총회 의견을 들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고, 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도 “당에 가서 의견을 수렴해 보겠다”고 전했다. 특히 한국당 정우택 원내대표는 문 대통령의 입장 표명을 요구하며 “청와대의 입장을 이해하겠지만, 결자해지 차원의 무엇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오후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총리 인준문제에 대한 입장을 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이 야권이 수용할 만한 메시지를 내놓고 야당도 내부 의견 수렴 과정에서 인준안을 처리하자는 쪽으로 방향을 잡는다면 지난 25일 이 후보자 청문회 종료 이후 나흘째 이어진 난기류가 해소될 가능성도 보인다.

/박신영인턴기자 sypark@sedaily.com

박신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