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스타 TV·방송

[‘라스’ 10주년①] “‘Raw’부터 ‘Reversal’까지”…영문으로 짚어본 10년

정확히 10년 전, 2007년 5월 30일. MBC 예능프로그램 ‘라디오스타’가 첫 걸음을 뗐다. 당시 ‘황금어장’ 코너 중 하나였던 ‘라디오스타’는 현재 어엿한 단일 프로그램으로서 존재감을 빛내고 있다. 뿐만 아니라, ‘무한도전’과 나란히 MBC 장수 예능프로그램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도 하다. 수많은 프로그램이 생겨나고 폐지되는 동안, ‘라디오스타’가 토크쇼로서 자리를 지켜올 수 있던 원동력은 무엇일까.

MC 교체 및 크고 작은 논란 속에서도 매주 시청자들에게 꾸준한 웃음과 감동을 안기고 있는 ‘라디오스타’의 10년 역사를 ‘RADIO STAR’의 이름에 빗대어 짚어봤다.




/사진=MBC ‘라디오스타’/사진=MBC ‘라디오스타’


Raw : 다듬어지지 않은, 날 것의 매력

처음 ‘라디오스타’가 시작될 때만 해도, 10주년을 예상할 수 있는 이는 없었다. 1회 게스트였던 정형돈은 프로그램의 엉성한 구성과 다듬어지지 않은 진행에 “뭐 이런 방송이 다 있냐”며 난색을 표했을 정도. ‘황금어장’ 속 변두리 프로그램이었던 ‘라디오스타’에게 ‘다음 회’는 기약할 수 없는 약속이기도 했다. 기록적인 ‘5분 방송’ 등 매주 프로그램의 존폐위기를 감수해야 했던 만큼, ‘라디오스타’는 더욱 독하게 ‘오늘만 사는’ 예능을 만들어 냈다.

Argument : 논쟁과 논란의 중심

‘라디오스타’의 정체성이 정제되지 않은 분위기에서 비롯된 만큼, MC든 게스트든 너나 할 것 없이 거침없는 발언을 선보였다. 그만큼 여러 논쟁과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을 터. 게스트들 사이의 설전에서부터 MC와 게스트의 미묘한 기류까지 편하지만은 않은 방송이 이어졌다. 대표적인 것이 ‘서인영과 가인의 반말 논란’과 ‘카라의 애교 거부’. 솔직하고 과감한 방송은 때로는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지만, 그만큼 프로그램의 차별화된 존재감을 공고히 했다.

Discover : ‘예능 캐릭터’ 발굴의 진수

자고로, 영웅은 난세에 태어나는 법. ‘라디오스타’는 종잡을 수 없는 흐름 속에서 수많은 예능 원석들을 발굴해냈다. 이제는 방송에서 보는 게 어색하지 않은 김태원의 본격적인 예능 나들이의 시작이 ‘라디오스타’였다는 것을 얼마나 기억하고 있을까. 아이돌그룹 엠블랙 멤버였던 이준이 예능감을 터트린 곳도 ‘라디오스타’다, ‘무한도전’ 김태호 PD는 이준의 출연 장면을 보며 “너무 웃겨 눈물이 난다. 축구 봐야 하는데 채널을 돌리지 못하겠다”고 칭찬하기도.

Invective : 독하게 방송하는 사람들

‘라디오스타’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 중 하나가 독설이다. 타 방송에서는 쉽게 물어보지 못하는 질문을 돌직구로 던지는 것이 특징. 그 중심에는 단연 MC 김구라가 자리해있다. 시청자들이 궁금해 하는 부분을 시원하게 긁어주기 때문에, 특정 게스트의 출연 소식만으로도 기대와 화제를 몰고 오기도. 인기도나 수입, 스캔들 등 민감한 부분도 캐묻는 턱에, 해당 게스트의 팬들에게는 피하고 싶은 대상이기도 하다.

/사진=MBC ‘라디오스타’/사진=MBC ‘라디오스타’


Organize : 공격을 위한 확실한 준비


독설도 내공이 있어야 가능하다. 수준 높은 공격을 위해 제작진들은 사전 준비에 충분한 공을 들이고 있다. 게스트도 놀랄 만한 넓고 깊은 정보력을 바탕으로 틈새를 파고들어야 하기 때문. ‘라디오스타’ 박창훈 PD에 따르면 사전 조사를 정말 많이 한다고. 또한 출연하는 게스트들도 인터뷰에 적극적으로 임한단다. 시원하고 솔직한 방송을 위한 쌍방향 노력은 결국 시청자들의 관심을 모으며 서로 윈윈하는 결과를 만들었다.

관련기사



Song : 독설로 상처 받은 마음, 노래로 달래주기

‘라디오스타’는 비교적 토크쇼로서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지키는 편이다. KBS2 ‘해피투게더’가 시즌제를 통해 여러 포맷을 선보였던 것과 비교되는 지점. 그러나 ‘라디오스타’에도 토크 외의 요소가 있긴 하다. 게스트의 사연을 담은 노래 혹은 노골적인 홍보송 등 본인이 부르고 싶은 곡을 부르게 함으로써 이야깃거리를 풍부하게 만든다. 10년이 지나는 동안 레전드 무대도 여럿 탄생했다. 김현식과 김광석 추모 특집, 뮤지컬 배우들의 무대 등은 전문 음악 방송이 아님에도 수준 높은 퀄리티를 선보이며 호평을 받았다.

Together : 함께 만드는 ‘라디오스타’

꾸준히 자리를 지킨 세 MC, 김국진-윤종신-김구라가 없었다면 ‘라디오스타’가 여기까지 올 수 있었을까. 신정환, 김희철, 규현 등 MC 자리를 거쳐 간 이들 또한 각자의 매력으로 프로그램의 개성을 살렸다. 박 PD는 “10년이 되니 MC들이 각자 자신의 역할을 잘 안다. 다들 해야 할 바를 잘 해주고 팀 조합도 잘 맞으니 10년까지 올 수 있지 않았나 싶다”고 10주년의 공을 MC들에게 돌렸다.

Amusing : CG로 더하는 재미

‘라디오스타’에는 음악을 제외하고 특별한 포맷상의 특징이 없다. 어떤 특정한 룰이 있는 것도 아니고, 앉아서 방송하는 만큼 몸 개그가 나오지도 않는다. 그래서 ‘라디오스타’는 MC와 게스트들의 입담에 화려한 CG를 덧입혔다. 박 PD는 “CG 덕에 지루하지 않은 웃음이 가능했다”며 “CG를 만드는 그래픽 디자이너들이 남다른 사명감을 가지고 있다”고 자부심을 드러냈다. 적재적소에 사용되는 CG들은 날카로운 분위기를 유하게 만들기도 하며 의외의 웃음을 이끌어냈다.

/사진=MBC ‘라디오스타’/사진=MBC ‘라디오스타’


Reversal : ‘라디오스타’ 역전의 역사

그렇게 라디오스타는 역전 스토리를 써냈다. ‘황금어장’ 속 ‘무릎팍도사’에 밀려 셋방살이 하던 입장에서 당당한 메인 프로그램으로 거듭났다. 10년 동안 이어져오다보니, ‘MBC에 종사하는 이들이라면 누구든 조금씩 발을 담가봤다’고 할 정도가 되기도 했다. 비록 플랫폼의 다양화와 비교적 높지 않은 시청자 층 때문에 폭발적인 시청률을 기록하지는 않고 있지만, 게스트에 상관없이 언제나 일정 수준 이상의 기대를 가지고 볼 수 있는 예능으로 자리를 잡게 됐다.

2007년, 과연 누가 ‘라디오스타’의 10주년을 예상할 수 있었을까. 여전히 예측불허인 ‘라디오스타’가 특유의 통통 튀는 매력으로 20주년도 맞이하기를 기대해본다.

/서경스타 양지연기자 sestar@sedaily.com

양지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