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文대통령, 6개 부처 차관인사 전격 단행...장관 임명전 차관 중심의 국정운영 구축

기재부 1차관 고형권·교육부 차관 박춘란

외교부 2차관 조현·통일부 차관 천해성

행자부 차관 심보균·국토부 차관 맹성규

모두 '관료 출신'…후속인사 잇따를 듯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이 31일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실에서 통일부 차관 등 차관인사를 발표하는 모습./연합뉴스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이 31일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실에서 통일부 차관 등 차관인사를 발표하는 모습./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31일 6개 부처의 차관 인사를 전격 단행했다.

문 대통령은 기획재정부 1차관에 고형권(53·행정고시 30회) 아시아개발은행(ADB) 이사, 교육부 차관에 박춘란(52·행정고시 33회) 서울시교육청 부교육감, 외교부 2차관에 조현(60·외무고시 13회) 주인도 대사를 각각 임명했다. 이어 통일부 차관에는 천해성(53·행정고시 30회)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회장, 행정자치부 차관에는 심보균(56·행정고시 31회) 행자부 기획조정실장, 국토교통부 2차관에는 맹성규(55·행정고시 31회) 전 강원도 부지사가 낙점됐다.

고형권 기재부 1차관은 전남 해남 출신으로 기재부에서 정책조정국장, 민관합동 창조경제추진단장, 기획조정실장 등을 두루 거친 ‘정책통’이자 국제금융분야에 식견도 넓은 관료 출신이라고 청와대는 소개했다. 경남 고성 출신의 박춘란 교육부 차관은 최초의 여성 교육부 국장으로 교육부 내에서 평생직업교육국장, 대학정책관, 충청남도교육청 부교육감 등을 거치면서 대학과 지방교육 등에 전문성을 갖춘 관료라고 설명했다. 미국, 중국, 일본 등 강대국들과 산적한 한반도 현안을 논의해야 할 조현 외교부 2차관은 전북 김제 태생으로 주유엔 차석대사, 외교부 다자외교조정관 등을 지낸 ‘다자 외교’ 전문가라고 발탁 배경을 밝혔다. 천해성 통일부 차관에 대해서는 서울 출신으로 인도협력국장, 대변인, 통일정책실장, 남북회담본부장 등을 거친 대표적 통일정책 및 남북회담 전문가라고 평가했다.


심보균 행정자치부 차관은 전북 김제 출신으로 행정안전부 지역발전정책국장, 여성가족부 기획조정실장, 전북 행정부지사 등을 거치며 지방자치와 분관에 관한 전문지식과 경험을 쌓았다. 일각에서는 지방을 개발하겠다는 문재인 정부의 핵심 정책과 일맥상통한 인사라는 해석도 나온다.

관련기사



국토부 2차관으로 임명된 맹성규 차관은 국토부에서 해양환경정책관, 종합교통정책관, 교통물류실장 등 대중교통 등과 교통물류 분야에서 일하면서 충실히 경력을 쌓았다고 청와대는 평가했다.

한편 이번 문 대통령의 차관 인사는 장관 인사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임명된 것이어서 눈길을 끈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차관 중심의 실무적 국정운영을 하기 위한 포석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이른바 ‘인사원칙 위배 논란’ 등으로 인해 야당의 반발로 장관들의 임명이 늦어지는 상황에서 차관들을 중심으로 국정 운영 체제를 미리 구축하는 전략이라는 해석이다. 전날 여당 의원들을 각 부처의 수장으로 임명한 것과는 다르게 차관 임명을 모두 관료 출신으로 한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라고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문 대통령은 이날 6개 부처를 대상으로 차관 인사를 진행함에 따라 후속 인사도 본격적인 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된다.

/윤상언 인턴기자 sangun.youn@sedaily.com

윤상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