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美 파리협정 탈퇴 선언] "시장 쪼그라들라"...태양광·전기차업계 촉각 곤두

철강·유화도 감축목표 변화 주시

정부 5일 실무자급 대응책 논의



미국의 파리기후변화협정 탈퇴 선언에 따라 재개의 움직임이 분주해지고 있다.

재계는 미국의 파리기후협정 탈퇴가 경영환경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재계가 가장 주목하는 부분은 우리 정부의 파리협약 탈퇴 여부다. 온실가스 감축 여부가 우리 정부의 입장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정부는 탈퇴할 가능성이 높지 않아 기업에 미치는 영향도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석유화학협회 관계자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를 맞추는 데 대다수 회원사가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미국의 탈퇴를 기점으로 우리 정부의 입장에 변화가 생길 것인지 관심을 갖고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을 하는 기업들은 미국 내 매출 감소 등의 영향을 우려하고 있다. 미국 시장 모듈 출하 비중이 30%에 달하는 태양광 모듈(태양광전지를 조립해 만든 제품) 생산업체 한화큐셀이 대표적이다. 태양광 업계 관계자는 “파리협약 탈퇴 선언으로 주력 시장인 미국에서 신재생에너지 전환 수요가 줄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파리협약 탈퇴 선언에 전기차배터리 업계도 긴장하는 모습이다. GM·포드·크라이슬러 등 미국 ‘빅3’ 업체들의 전기차배터리 생산 등에 영향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빅3와 전기차배터리 공급 계약을 맺고 있는 화학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탈퇴가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 수 없어 현재로서는 전개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 빅3 역시 미국의 파리기후협약 탈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철강은 전체 산업계에서 탄소배출이 많은 대표 업종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11월 체결된 파리기후협약으로 국내 산업계는 오는 2030년까지 2억1,900만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하는 상황이다. 업계는 미국의 파리기후협약 탈퇴로 당장 사업 환경에 변화가 오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국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여전히 협약에 포함돼 있어 국내 탄소배출 감축 계획에 곧바로 변화가 오는 것은 아니라는 분석이다. 월스트리트저널 등 외신은 유럽과 캐나다 등 주요국이 미국을 제외하고서라도 협약 이행에 나설 것이라고 진단한다.

때문에 철강업계는 한국 정부의 방침이 변하지 않는 이상 탄소배출 로드맵을 준수할 것이라는 입장이다. 철강사의 한 관계자는 “특히 새 정부는 친환경 기조가 강하다”며 “기존에 노력해오던 탄소배출 줄이기에 힘쓸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부 역시 국무조정실 주재로 5일 관계부처 실무자급 회의를 열어 국제사회의 움직임 등에 대한 대응책을 논의할 계획이다. 국무조정실 관계자는 “파리협약은 국제사회의 약속”이라며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기본 로드맵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다만 “파리협약에 균열이 일어나면 예상하지 못한 돌발변수로 우리 경제와 산업계에 미치는 악영향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관련 부처에서 예의주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기본 로드맵은 신기후체제 출범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등 대응을 위해 우리 정부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중장기 전략 및 정책 방향이다.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 대비 37%를 줄이는 것을 골자로 한 액션플랜을 담고 있다. 업종별로 철강 17%, 석유화학 7%, 디스플레이 5.7%, 전기전자 4.8%, 반도체 4.1%, 자동차 3.4% 등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종=김정곤·박성호·김상훈기자 mckids@sedaily.com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