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AI 위기 단계 격상…질병관리본부, 인체점검 예방 강화

[질병관리본부/연합뉴스][질병관리본부/연합뉴스]


조류인플루엔자(AI) 위기 단계가 ‘심각’으로 격상되면서 질병관리본부는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AI 인체감염 예방을 강화하겠다고 7일 밝혔다.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살처분 작업 참여자나 AI 발생농가 종사자는 감염 예방을 위해 항바이러스제를 투약하고 개인 보호구를 착용하며, 잠복기(10일) 간 발열 증상 등을 모니터링하게 된다.


지난해 11월 고병원성 AI 발생 이후 ‘중앙 AI 인체감염 대책반’을 운영하고 있는 질병관리본부는 AI 중앙 역학조사반을 대폭 확대 편성하고 의심환자 발생에 대비해 국가지정 음압격리병상 가동을 준비 중이다.

관련기사



다만 질병관리본부는 AI 위기 단계가 격상됐다고 해서 과도하게 불안에 떨 필요는 없다고 권고했다. 현재 제주와 군산 등에서 확인된 H5N8형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아직 보고된 인체감염 사례가 없다. 또 열에 약한 AI 바이러스는 75도 이상에서 5분 만에 사멸하기 때문에 닭고기나 오리고기를 충분히 익혀 먹으면 감염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질병관리본부는 설명했다.

당국은 감염 예방을 위해 일반 국민은 생가금류 접촉이나 가금 농장 방문을 자제하고, 30초 이상 손 씻기 등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해 달라고 당부했다. AI 발생농가를 방문해 가금류와 접촉하거나 야생 조류 사체를 접촉한 뒤 10일 이내에 발열을 동반한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이 발생할 경우 관할 지역 보건소나 질병관리본부 콜센터(☎1399)로 신고해야 한다.

/김민제 인턴기자 summerbreeze@sedaily.com

김민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