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용인 기흥저수지 수질 농업용수 수준으로 개선

용인시, 핵심항목인 COD와 T-P서 6→4등급으로 개선

하수처리장 증설 등 영향…기흥호수공원화 사업 청신호

농업용수로도 쓰기 어려울 정도(6등급)였던 용인 기흥저수지의 수질이 지난해 농업용수 수준인 4등급으로 개선됐다.

이에 따라 새 정부 공약사업에도 포함된 기흥저수지의 호수공원화 사업에 청신호가 켜졌다.

용인시는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기흥저수지의 연평균 수질(중류기준)이 COD(화학적산소요구량)가 7.28ppm, T-P(총인)가 0.072ppm을 기록, 농업용수 수준(4등급)인 8이하와 0.1이하로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COD의 경우 지난 2014년에 12.2ppm, 지난해 10.2ppm였던 것에 비하면 2년전보다 무려 40%가량 개선된 것이다.


녹조 발생의 주범인 물속 인(비료성분 중 하나)이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인 T-P(총인) 농도도 2014년엔 0.108ppm이었던 것이 2015년 0.053ppm, 2016년 0.072ppm 등으로 4등급 기준치(0.1ppm) 이내로 들어와 2년 전보다 약 30% 나아졌다.

관련기사



올해 들어서도 기흥저수지 T-P 농도는 3개 조사지점에서 1월 0.05~0.066ppm, 4월 0.029~0.074ppm 등으로 모두 기준치를 크게 밑돌고 있다.

이에 따라 매년 여름철마다 녹조로 인한 악취로 시민들을 불편하게 했던 녹조가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기흥저수지 수질이 개선된 것은 용인시가 지난해 하수처리장인 기흥·구갈레스피아에 대한 증설 등 개량사업을 한데다 하수 분류관거를 신설, 유입되는 수질이 나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기흥저수지를 2020년까지 3등급(COD 5ppm 이하, T-P 0.05 이하) 수준으로 개선하겠다는 용인시의 목표에도 긍정적인 신호가 되고 있다. 현재 용인시는 이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흥저수지로 유입되는 신갈천·공세천·상하천에 585억원을 투입해 내년 완공 예정으로 생태하천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 250억원을 투입해 2018년 완공 예정으로 진위·신갈천 비점오염(도로나 농경지 등에서 나오는 비특정오염) 저감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정찬민 용인시장은 “이처럼 호수로 유입되는 물을 관리하는 한편 앞으로 농어촌공사를 통해 호수 내부 준설과 습지조성 등을 벌이면 기흥저수지의 수질이 크게 개선돼 수도권 최대의 호수공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