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日 아사히 "北 지대함 순항미사일 발사…한·미·일 사전에 파악"

"美 정찰위성 궤도 수정해 北 집중 감시"

9일 일본 아사히 신문은 전날 북한이 지대함 순항미사일 발사 징조를 한미일이 사전에 파악하고 있었다고 보도했다./연합뉴스9일 일본 아사히 신문은 전날 북한이 지대함 순항미사일 발사 징조를 한미일이 사전에 파악하고 있었다고 보도했다./연합뉴스


북한이 8일 지대함 순항미사일을 발사하기 위해 원산 일대에 이동발사대를 배치한 것을 한미일 당국이 미리 파악하고 있었다고 아사히신문이 9일 보도했다.

신문은 한미일 동맹이 미국이 궤도를 수정한 여러 대의 정찰위성을 북한 감시에 집중적으로 투입해 수십 분 간격으로 특정 지점을 촬영한 정보를 통해 북한의 이 같은 움직임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달 14일 발사했던 중장거리 탄도미사일인 ‘화성-12’ 발사 역시 사전에 파악된 것으로 보인다고 신문은 전했다. 반면 지난달 21일 북한이 발사했던 ‘북극성-2형’ 탄도미사일 발사 당시에는 한미일이 이를 사전에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북한이 무한궤도식 발사 차량을 이용해 들판이나 하천, 경사진 곳 등 한미일의 정찰위성이 파악하지 못하는 장소에서 미사일을 발사하는 방법을 이용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북한이 미국의 정찰위성 능력을 파악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동발사대의 배치를 노출해 미사일 발사를 한 것은 한미일을 정치적으로 위협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아사히신문은 분석했다. 미국이 한반도 인근에 항공모함과 핵 추진 잠수함 등을 배치해 압박하자 미사일 발사 등 무기 개발 성과를 과장에 한미일에 심리적 압력을 주려고 한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다만, 신문은 탄도미사일 대기권 재진입 기술이나 고체연료를 이용한 로켓 발사 등 북한이 개발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던 기술 개발에 잇달아 성공하고 있기 때문에 북한의 도발이 과장됐다고 안심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윤상언 인턴기자 sangun.youn@sedaily.com

윤상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