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시민단체선 "원가 공개하고 LTE 요금도 인하를"

[미래부 오늘 '통신비 인하안' 보고]

시민단체들이 국정기획자문위원회를 만나 문재인 대통령의 통신료 인하 공약 이행을 위해 통신 원가를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9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에 마련된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열린 ‘통신료 인하 공약 이행을 위한 간담회’를 마친 윤철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소비자인권센터 국장은 “통신요금이 적정하게 책정됐는지 알 수 있도록 원가를 공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간담회는 국정기획위 자문위원들과 경실련·참여연대·한국YMCA·녹색소비자연대 등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비공개로 진행됐다.


시민단체들은 통신요금의 공공성을 강조하며 온 국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통신료를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윤 국장은 “기본적으로 통신요금은 공공요금”이라며 “원가를 공개하고 요금 적정성을 평가하는 다른 공공요금처럼 통신요금도 원가를 공개하고 요금을 인상할 때도 위원회를 통해 그 이유를 설명하는 자리를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단체들은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2G와 3G 기본료를 폐지한 후 4G(LTE) 요금 인하를 검토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반대의 뜻을 명확히 했다. 심현덕 참여연대 간사는 “4G까지 포함한 모든 가입자의 기본료를 폐지해야 한다”며 “기본료가 이동통신요금에 설정된 것 자체가 문제”라고 주장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