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文대통령 “6월항쟁 성취 민주주의, 국민 삶에 뿌리내려야”

盧 전 대통령 이어 10년만에 6·10항쟁 기념식 참석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지난 30년, 우리 사회가 이뤄온 모든 발전과 진보는 6월 항쟁에서 비롯됐다”며 “문재인 정부는 우리 국민이 이룬 그 모든 성취를 바탕으로 출범했다”고 말했다. 또 문 대통령은 “이제 우리의 새로운 도전은 경제에서의 민주주의”라며 일자리 정책을 포함해 ‘경제 민주주의’의 새로운 기준을 세워야 한다고 촉구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시청광장에서 열린 6·10 항쟁 30주년 행사에 참석해 기념사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대통령이 6·10항쟁 행사에 참석한 것은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30년 전 6월, 우리는 국민이 승리하는 역사를 경험했다”며 “불의에 대한 분노와 민주의 열망이 만들어낸 승리였고, 국민이 시대의 흐름을 독재에서 민주로 바꿔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30년, 우리 사회가 이뤄온 모든 발전과 진보는 6월 항쟁에서 비롯됐다”며 “문재인 정부는 6월항쟁의 정신 위에 서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기념사를 통해 박종철 열사와 이한열 열사 뿐 아니라 항쟁을 이끌었던 지도부를 비롯해 사제, 목사, 스님, 여성, 민주정치인, 노동자, 농민, 도시빈민, 문인, 교육자, 법조인, 문화예술인, 언론출판인, 청년, 학생 등 당시 뜨거운 함성 속에서 함께 눈물 흘리고, 함께 환호했던 모든 이들에게 감사와 존경의 인사를 전했다. 이어 6월 항쟁을 통해 주권자의 힘을 배운 국민들이 촛불 혁명을 통해 미완의 6월 항쟁을 완성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촛불은 한 세대에 걸쳐 성장한 6월 항쟁이 당당하게 피운 꽃이었다”며 “6월의 시민은 독재를 무너뜨렸고 촛불 시민은 민주사회가 나아갈 방향과 의제를 제시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은 6월 항쟁과 촛불 혁명을 통해 성숙한 민주주의가 이제는 한 단계 더 나아가 경제 민주주의로 이어져야 한다고 호소했다. 그는 “극심한 경제적 불평등 속에서 민주주의는 형식에 지나지 않는다”며 “일자리는 경제의 문제일 뿐 아니라 민주주의의 문제”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사회가 함께 경제민주주의를 위한 새로운 기준을 세워야 한다”며 “양보와 타협, 연대와 배려, 포용하는 민주주의로 가기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 노동자, 시민사회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누구나 성실하게 8시간 일하면 먹고사는 것 걱정 없어야 하고, 실패했더라도 다시 기회를 가져야 한다”며 “그렇게 함께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해가는 것이 민주주의”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문 대통령은 “사람에서 사람으로 이어지는 민주주의는 흔들리지 않고, 정치와 일상이, 직장과 가정이 민주주의로 이어질 때 우리의 삶은 흔들리지 않는다”며 “그렇게 우리의 삶,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 역량이 더 성숙해질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자”고 호소했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