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20대 이하·60대 이상 가구주 소득·소비 부진

실질소득 둔화 가운데 일자리는 줄어



소비성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계층의 소비 여력이 약화하고 있어 소비부진 장기화가 우려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이 11일 발표한 ‘소비 구조의 특징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월 평균 실질소비지출이 20대 이하 가구주 가계에서 2007년 170만원에서 2016년 150만원으로 9년 간 20만원이 줄었다. 연령대 별로 20대 이하 가구주 가계에서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반면 40대와 50대 가계는 2007년에는 각각 270만원, 230만원이었지만 2016년에는 각각 290만원, 250만원으로 약 20만원씩 늘었다.


가구주 연령별 월평균 실질소득 변화를 보면 20대 이하 가구주는 2007년 270만원에서 2016년 230만원으로 40만원이 감소했다. 같은 기간 30대와 60대 이상은 420만원, 220만원으로 각각 30만원, 20만원 씩 증가했다. 40대와 50대는 2016년 각각 470만원, 450만원으로 70만원, 50만원 씩 늘었다.

관련기사



품목별 소비를 보면 60대 이상 고령층은 의식주 관련 필수 소비 비중이 높았다. 60대 이상 가구주 가계는 식료품·비주류음료(20.0%)와 주거·수도광열(16.7%) 등 생활에 필요한 소비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 보건 항목은 11.8%로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40대는 교육비 항목 지출이 17.1%로 가장 높았으며 대출과 이자 상환을 위한 지출도 다른 연령대와 비교해 가장 많았다.

박용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원은 “소비성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계층의 소비 여력 약화는 소비부진 장기화를 유발할 수 있어 연령별, 소비 품목별 특성에 맞는 정책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가구의 소비 심리를 회복시키는 적극적인 경기 대응을 통해 경제 전반의 하방 압력을 완화해야 한다”며 “우리 경제가 고령화로 인한 복지 수요 증대로 사회적 지출 확대가 불가피하지만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재정 건전성을 확보하는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