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홈쇼핑 업체, 脫 중국 본격화 되나



중국에 진출한 국내 홈쇼핑 업체들이 중국 정부의 사드 보복에다 현지 합작기업의 과도한 요구 등으로 인해 하나 둘 발을 빼고 있다. 이 가운데 현지 합작사의 과도한 요구가 도를 넘어서고 있는 상태다.

롯데홈쇼핑에 따르면 현재 남아 있는 중국 진출 지역 3곳 중 2곳의 운영권 매각을 추진 중이다. 헤이룽장성과 허난성 운영권을 매각한 지 6년 만이다. 매각 협상 지역은 충칭을 제외한 산둥과 윈난 두 곳이다. 산둥은 지난해 12월 운영 계약이 만료됐고 윈난은 내년 2월 계약이 끝난다. 롯데홈쇼핑 관계자는 “현지 업체와 산둥, 윈난 지역 사업권을 두고 매각 협상을 긍정적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이 회사는 중국 5곳에 진출했지만 현재 3곳만 남은 상태다. 이 가운데 2곳의 매각을 추진중이다.

롯데홈쇼핑이 중국 사업을 완전히 정리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현재 최소 인력 2명만 남아 있는 상황인데다 그나마 상황이 나은 충칭의 경우 올해 초 기존 법인을 청산하고 새로운 법인을 설립하면서 ‘운영자’에서 ‘단순 지분 투자자’로 방향을 선회했기 때문이다.


다른 업체의 상황도 별반 다르지 않다.

관련기사



현대홈쇼핑(057050)은 지난해 4월부터 1년 여 간 합작사와의 갈등으로 홈쇼핑 판매방송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대홈쇼핑의 현지 합작사인 가유홈쇼핑은 현대가유홈쇼핑의 실적을 이유로 현대홈쇼핑 측에 사업 종료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CJ오쇼핑(035760)도 2012년 중국 합작사의 부당한 요구로 동방CJ 지분 26% 중 11%를 현지 합작사에 매각해야 했다. 여기에 사드 보복으로 인해 판매량도 반 토막이 나는 등 매출 타격도 입고 있다. 이렇다 보니 홈쇼핑 업계에서는 중국 시장을 ‘무덤’으로 부른다.

한 홈쇼핑 업계 관계자는 “중국 시장이 유통업계에 잠재력이 큰 시장으로 각광 받으면서 2000년대 초중반부터 현지에 진출하는 업체가 많았지만 취약한 물류·배송 시스템 문제와 현지 소비 형태 등 문제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철수를 하는 업체들이 늘고 있다”며 “사드 보복에다 현지 합작사의 과도한 요구 등으로 인해 더 큰 적자를 보기 전에 손을 떼야 된다는 분위기가 팽배해 있다”고 말했다.

이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