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文 "위안부 합의, 한국 국민이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이 현실"

문재인 대통령이 아베 신조의 친서를 들고 온 일본 특사에게 위안부 합의는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을 공개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의 발언과 동일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12일 청와대에서 아베 신조 일보 총리의 특사로 방안한 니카이 도시히로 자민당 간사장을 접견한 자리에서 “(위안부 합의에 대해) 한국 국민이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이 솔직한 현실”이라면서 “다만 양국이 그 문제에 매달려 다른 문제의 발전을 가로막는 길로 나가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무엇보다 당사자인 위안부 할머니들이 이 문제를 받아들이지 않고 계시다”라며 “이 점을 한?일 양국이 직시할 필요가 있고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함께 인식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역사 문제는 역사 문제대로 지혜를 모아 해결하고 다른 문제는 그것대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말을 아베 총리에게 꼭 전해달라”며 “일본이 한국 국민 정서를 헤아리려는 노력이 중요하고 양국이 지혜를 모아 개선해가면 양국관계가 더 빠르게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니카이 간사장은 “이에 공감한다. 함께 노력하자”며 “자민당이 일본 위회에서 의석 과반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대통령과 나눈 이야기가 실현될 수 있도록 책임있게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의 이같은 의견은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의 발언과 유사하다. 강 후보자는 지난 7일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위안부 배지를 달고 나와 한?일 위안부 합의를 원점에서 재검토하고 재협상에 나설 수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 자리에서 강 후보자는 “유엔에서 인권 분야를 담당한 입장에서 한?일 위안부 합의서가 처음 나왔을 때 의아스럽게 생각했다”며 “구두로 양국 장관이 발표했기 때문에 법적 구속력이 없다”고 말했다.

“합의 내용을 보면 10억엔의 성격이 무엇인지 명백하지 않고 ‘불가역적 최종적 합의’란 것은 군사적 합의에서나 나올 수 있는 얘기라고 생각한다”고 말한 강 후보자는 “인권 유린에서 가장 핵심적인 피해자 중심의 법적 책임과 배상인데 이 부분에 있어 합의가 불충분했던 것 아닌가 싶다”고 주장했다.

강 후보자는 또 “위안부 피해자들과 단체, 정부, 국민들, 의원들과의 지혜를 모을 필요가 있고 궁극적으로 피해자들의 마음에 와닿는 일본 측의 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고 전했다.

장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