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변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4차 산업혁명에서 평생교육은 가장 중요한 사회적 인프라로 등장한다. 평생교육은 일자리(job) 변화와 직무(task) 변화라는 두 축으로 전개될 것이다. 일자리 자체가 변화할 경우에는 완전 재교육이 필요하고 일의 일부인 직무가 변화할 경우에는 부분 재교육이 필요하다. 공공 중심 평생교육이 사회에서 재교육 받을 사람들이 대학으로 오는 인바운드 일자리 교육이라면 민간 중심 평생교육은 교육이 사회현장에 접목되는 아웃바운드 직무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전자가 대학 중심이라면 후자는 에듀테크(edu-tech) 기업이 중심이 된다.
대학의 평생교육원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공공 평생교육이 전체 교육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 미만인 6,000억원 수준이다. 아직 규모가 미미하나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기에는 비용 대비 효과도 의문시된다. 한편 이러닝 업체 주도의 민간 평생교육은 상대적으로 시장 경쟁력을 갖추며 성장하고 있으나 가장 중요한 클라우드와 개인정보 규제로 확산이 제약돼 있다.
이런 두 가지 형태의 평생교육 경쟁력 강화대책을 강구해보자. 첫 번째 대학 평생교육원의 문제는 낮은 효율성과 간판 중심의 교육구조다.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이유가 4차 산업혁명에서 요구하는 일자리 변화에 대한 대응보다는 한국 사회가 요구하는 간판을 취득하는 데 있다는 것이 불편한 진실이다. 최근 이화여대 사태에서도 볼 수 있듯이 대학 평생교육원은 대학의 졸업장 사업이라는 인식이 팽배해 있다. 평생교육이 실질역량 중심으로 발전하기에는 비용 대비 효과가 의문시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에듀테크를 활용한 평생교육의 효율화를 도모해야 한다. 애리조나대가 활용하는 ‘Knewton’ 같은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교육 시스템은 교육의 질적 향상과 더불어 교육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축시켜줄 것이다.
대학은 50만 신입생 시대에서 30만 신입생 시대로 들어서고 있다. 결과적으로 신입생 감소는 반값 등록금과 더불어 대학 재정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교육수요 감소에 대비해 교육부는 정책적으로 대학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에서 교육 수요는 감소하지 않는다. 단지 형태를 달리할 뿐이다. 이제 은퇴가 없는 액티브에이징(active aging) 시대에 들어서고 있다. 평균 52세까지 25년을 근무하고 은퇴해도 77세까지 25년은 더 일할 수 있다. 초고령화로 인생이모작 시대가 열린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의 지속적인 일자리 변화는 초고령화가 요구하는 이모작 교육을 넘어 N모작 교육 수요를 창출한다. 결국 대학의 교육 수요는 오히려 증가하고 내용이 과거와 달라질 뿐이다. 이에 따라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는 대학이 미래를 선도할 것이다.
한편 직무교육은 사회현장에서 이뤄져야 한다. 대부분의 기업은 이미 업무와 교육을 결합하고 있다. 일자리는 유지되나 직무는 변화한다. 이러한 직무교육은 현장 중심의 에듀테크 중심 교육이 될 수밖에 없다. 전 세계적으로 교육 콘텐츠 플랫폼, 맞춤교육 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의 에듀테크 기업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대한 제도적 정비가 국가 차원에서 시급하다.
그렇다면 에듀테크 발전을 가로막는 걸림돌을 제거해야 한다. 가장 큰 걸림돌인 에듀테크 콘텐츠의 클라우드 규제 결과는 교육의 비효율화와 사교육의 번창이다. 이미 입증된 개인별 맞춤교육 효과 극대화를 위한 개인 교육정보 활용도 규제되고 있다. 개인정보의 주권을 개인에게 돌려줘 자기를 위한 정보 유통을 허용하라. 이것이 국가 경쟁력을 올리고 사교육을 줄이는 대안이다.
4차 산업혁명이 진행되면서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현재 초중고대학의 정규교육을 넘어서게 될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 앞서 가는 게임과 정보기술(IT) 경쟁력과 교육의 열기를 결합한 스마트 평생교육이 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