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국토부, 구도심 슬럼화 방지에 빅데이터 활용

19일 빅데이터분석과제 관련기관 협의회

국토교통부가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에서 축적한 빅데이터를 구도심의 슬럼화 및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등 다양한 정책 과제에 활용한다.

국토부는 지역개발ㆍ주거 등 7개 빅데이터 분석 과제에 대한 관련 기관 협의회를 19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수요조사를 거쳐 선정된 11개 빅데이터 분석 과제 중 지역개발ㆍ주거 분야 6개 과제와 지난해 말 체결한 ‘한국-콜롬비아 공간 빅데이터 업무협약(MOU)’에 따른 콜롬비아 재해 취약성 분석 과제를 대상으로 분석방법과 기관 간 역할분담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지난 2014년부터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행정정보와 민간에서 보유한 유동인구자료, 카드매출정보 등을 융ㆍ복합해 분석하는 사업을 추진했다. 지난해에는 대전시 ‘중앙로 차 없는 거리행사가 주변 상권에 미치는 영향 분석’, 충주시 ‘CCTV 설치 최적지 및 안심길 분석’ 등을 통해 정책 결정을 지원했다.

관련기사



국토부는 이번 협의회 이후에도 관련 기관과 공간 빅데이터 취합ㆍ분석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 등 협력을 지속해 분석과제 품질을 높일 계획이다. 11개 선정 과제 중 이번 협의회에서 논의하지 못한 노인의 의료서비스 접근성에 따른 의료이용 패턴분석 등 5개 과제에 대한 협의회도 7월 초에 추가로 개최할 예정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연내 공간 빅데이터 분석을 완료하고 공간 빅데이터 기반의 협업과제를 발굴 및 지원해 4차 산업 혁명의 핵심 기술인 공간 빅데이터 활용을 확산하고 효용성에 대한 관심을 높일 것”이라고 전했다. /고병기기자 staytomorrow@sedaily.com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