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18일 발표한 ‘2017년 500대 기업 임금체계 현황 조사’ 에 따르면 매출액 500대 기업에서 기본급에 대해 호봉급을 적용받는 근로자 수 비중은 43.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직능급(능력 기준) 34.5%, 직무급(일의 가치) 13.5% 순이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호봉급 비중이 0.2%포인트 감소해 사실상 정체 상태였고 직능급과 직무급 근로자수 비중은 0.4%포인트와 2.8%포인트씩 소폭 늘었다. 직종 별로는 생산직과 판매·서비스직은 호봉급 비중이 높았고 사무직과 연구직은 직능급이 많았다. 생산직 근로자는 호봉급이 70.6%, 판매·서비스직은 호봉급이 42.2%였다. 반면 사무직 근로자는 직능급이 57.7%, 연구직은 직능급 41.7%로 가장 많았다.
응답 기업들은 호봉급으로 근로자 성과관리 어려움(38.4%)과 장기근속자 고용유지 부담(33.8%), 경기변화에 능동적 대처 애로(20.5%)가 있다고 답했다. 그럼에도 호봉급을 유지하는 이유는 ‘기존 관행상 유지’(32.5%), ‘노조의 호봉급 폐지 반대’(31.1%)를 들었다. 호봉급의 장점인 ‘장기근속 유도’는 11.3%에 그쳤다. 현행 임금체계의 문제점으로는 ‘성과가 달라도 보상 수준이 비슷해 무임승차자 발생’(42.7%) 응답이 가장 많았다.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임금체계 개선 사항으로는 ‘기본급 인상률을 차등하는 제도 도입’(40%), ‘성과급 비중 확대’(24.5%)를 들었다. 한경연은 “해외 선진국에서는 직무, 직능급이 보편적이고 호봉급 중심으로 알려진 일본에서도 이미 직무·직능급이 주된 임금체계로 자리잡았다”며 “우리도 직무급 중심으로 임금 체계가 개편할 수 있도록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을 위해 정부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신희철 기자 hcshin@sedail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