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조기 위·대장암 ‘위치표시용 형광클립’ 기술이전

국립암센터, 메디랩에

위·대장 밖서 종양 위치 확인

정확한 절제 수술에 큰 도움

이강현(오른쪽) 국립암센터 원장이 21일 박성재 메디랩 대표와 수술용 형광 클립 기술이전 계약을 맺은 뒤 기념촬영 시간을 갖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올림푸스의 내시경용 클립.이강현(오른쪽) 국립암센터 원장이 21일 박성재 메디랩 대표와 수술용 형광 클립 기술이전 계약을 맺은 뒤 기념촬영 시간을 갖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올림푸스의 내시경용 클립.




국립암센터가 조기 위암·대장암 부위를 정밀하게 절제할 수 있게 해주는 ‘수술용 형광 클립’ 기술에 대한 국내 실시권을 21일 바이오벤처 메디랩에 이전했다.


국립암센터 혁신의료기술연구과장인 손대경 박사팀이 개발한 형광 클립은 조기 위암·대장암 수술 전 내시경으로 확인한 위·대장 안쪽 종양부위에 1~3개가 물려진다. V자 모양의 내시경용 스테인리스 클립에 코팅된 형광물질은 위·대장 밖에서도 확인할 수 있어 종양부위를 정밀하게 절제할 수 있게 도와준다.

박성재 메디랩 대표는 “올해 안에 양산을 위한 자동화 기술개발, 내년 중 건강보험 적용이 목표”라며 “형광 클립이 조기 암 치료에 많은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강현 국립암센터 원장은 “내시경 검진을 통한 조기 위암·대장암 진단이 늘고 있어 형광 클립을 이용한 종양 위치 표기법이 보다 정밀한 수술을 가능하게 하고 환자의 수술 후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것”이라며 “조속한 시일 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의료기기 승인을 받아 암 정밀수술에 일조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손 박사팀은 형광 클립 기술관련 특허를 우리나라와 미국·유럽 등에 등록했다.

전이가 없는 조기 위암·대장암의 3분의1은 위·대장 안으로 내시경을 집어넣어 절제한다.

3분의2는 배에 여러 개의 작은 구멍을 내 수술기구 등을 집어넣고 위·대장 바깥쪽에서 종양부위를 절제하는 복강경·개복 수술을 한다. 이 때 위·대장 바깥쪽에서 종양부위를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수술 전 내시경으로 종양 부위에 잉크를 주사하거나 지혈 클립 1~3개가량을 물려놓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위·대장 바깥쪽에서의 촉감으로 종양의 위치를 감별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잉크는 번질 수 있다. 의사의 경험·숙련도에 따라 절개의 정확도·범위가 차이가 나는 것도 문제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