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첫 직장 떠난 이유는…"업무과다·야근"

응답자 59%, 취직 후 2년 내 이직

잡코리아 설문조사

첫 직장 떠나는 이유…“업무과다·야근”/연합뉴스첫 직장 떠나는 이유…“업무과다·야근”/연합뉴스


이직 경험이 있는 직장인 10명 가운데 6명은 입사 후 2년 이내에 첫 직장을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취업포털 잡코리아에 따르면 과거 이직 경험이 있는 남녀 직장인 46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첫 이직을 한 시기는 언제냐’는 질문에 ‘입사 후 1년 이상 2년 미만’이라는 응답이 전체의 26.9%로 가장 많았다.


‘입사 후 6개월 이상 1년 미만’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16.6%로 그 뒤를 이었다.

6개월도 안 돼서 직장을 옮겼다는 응답도 15.4%에 달했다. 전체의 58.9%가 취업한 지 2년이 되기 전에 이직한 셈이다.


이밖에 2년 이상 3년 미만(16.0%), 3년 이상 4년 미만(9.4%), 4년 이상 5년 미만(5.3%), 5년 이상(10.4%) 등으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첫 이직의 이유로는 ‘업무과다 및 야근으로 개인 생활을 누리기 힘들어서’라는 응답이 29.2%로 가장 많았다.

이어 회사의 비전 및 미래 불안(24.5%), 낮은 연봉(21.5%), 상사 및 동료와의 불화(8.3%), 다른 회사 및 헤드헌터의 스카우트 제의(6.4%), 거주지와의 먼 거리(3.8%) 등 순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이직한 직장에 만족하느냐는 질문에는 ‘그렇다’고 답한 응답자(58.4%)가 ‘그렇지 않다’(41.8%)보다 많았다.

이직할 때 어려운 점으로는 채용 기업 찾기(26.2%)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입사지원서 작성(25.4%)과 면접(17.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어려움이 없었다는 응답도 17.5%에 달했다.

/성윤지인턴기자 yoonjis@sedaily.com

성윤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