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일 국정위에서 장기적으로 출시 계획을 밝힌 보편적 요금제 도입은 단기간에 도입될 가능성이 높지 않음. 요금제를 출시하려면 국회에서의 법 개정 논의가 필요하기 때문. 향후 최소 1년, 최대 2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보이며 국회 통과 가능성도 사실상 높지 않다. 기본료 폐지와 마찬가지로 법 위반 소지가 있고 알뜰폰 업체들의 반발이 예상되기 때문. 만약 법이 개정된다고 해도 통신사들의 충격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임. 저가 요금제(2만원요금제)에 통산사가 보조금/리베이트를 지급하지 않을 공산이 크기 때문.
- 반면 분리 공시 제도 도입 시엔 통신사의 수혜가 예상. 통신사 보조금과 제조사 장려금이 공시됨에 따라 각 메이커 모델 별 실제 폰 판매 가격이 소비자들에게 정확히 노출될 것이고 국내/외산폰 간 가격 경쟁 심화, 폰 가격 하락이 전망되기 때문. 제조사(특히 삼성)의 피해와 더불어 일부 유통상의 피해가 예상되며 통신사는 소비자와 함께 수혜가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