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우리가 최적지" 부·울·경 원전해체센터 유치 경쟁 달아오른다

뛰어난 산업인프라 갖춘 울산

해체방안 용역 진행중인 부산

국내 최다 원전 보유지역 경북

"향후 지역경제 이끌 블루오션"

지자체마다 이점 내세워 유치 사활

국내 원전 현황




지역별 원전해체센터 유치 주장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고리 1호기가 지난 19일 가동을 멈추고 영구정지에 들어갔다. 고리 1호기는 국내 최초 상업용 원자력발전소로 40년간 소임을 다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사진제공=한국수력원자력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고리 1호기가 지난 19일 가동을 멈추고 영구정지에 들어갔다. 고리 1호기는 국내 최초 상업용 원자력발전소로 40년간 소임을 다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진다. /사진제공=한국수력원자력


문재인 대통령이 동남권에 원자력발전소 해체 기술 개발을 주도할 연구소 설립 방침을 밝히면서 관련 시설 유치를 위한 울산·부산·경북 지역간 경쟁이 뜨거워지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6월 예비타당서 조사에서 이 센터가 ‘경제성이 없다’며 백지화했으나 고리1호기 퇴역으로 탈원전이 가시화되면서 더는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됐다.

무엇보다 세계 원전해체 시장이 열리는 지금이 센터 설립 최적의 시기라는 지적이다. 2020년대 이후 해체 시기가 도래하는 각국 원전들이 늘어나면서 관련 학계는 시장 규모를 최대 1,000조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정부는 한국의 원전 해체 기술력을 선진국 대비 80%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다. 원전해체센터는 미비한 기술을 보완하는 중심 연구기관으로 이후 관련 산업의 거점이 될 전망이다.

가장 발빠르게 움직이는 곳은 울산이다. 울산은 원전 관련 국내 최고의 산학연 인프라를 갖춰 센터설립의 최적지임을 강조하고 있다. 울산시는 지난달 울주군 서생면 102만㎡ 규모의 에너지융합산업단지 기공식을 가지며 부지를 확보했으며 울주군과 지역주민 협의도 완료했다. 무엇보다 뛰어난 산업인프라 보유로 실증화와 산업화 역량이 최고라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엔지니어링플랜트·정밀화학·에너지소재·환경 등 원전해체 관련 5개 산업 중 4개 산업을 보유하고 있어 곧바로 해외시장 진출도 가능하다. 김기현 울산시장은 “울산 시민의 94%가 원전 반경 30㎞ 에 거주하고 있으나, 관련 지원기관 등 원전 입지에 따른 수혜가 전혀 없었다”면서 “원전해체 분야에서 국내 최고의 산학연 인프라를 갖춘 울산이 센터설립의 최적지”라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부산시도 지난해 3월부터 ‘원전해체산업 육성방안 연구’ 용역을 진행해 원자력산업 육성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등 원전해체센터 유치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부산시는 고리1호기가 기장군에 있는 만큼 원전해체센터가 부산에 들어서는 것이 당연하다는 주장이다. 부산시는 부산대, 미국 아르곤연구소(ANL)와 원전해체 기술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을 준비하고 있다. 또 지역 기업이 일부 참여하는 해체산업 육성 계획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부산시는 기장군 동남권 방사선의과학산단 내 1만200㎡ 부지를 센터로 할 것을 정부에 구체적으로 제안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부산이 보유한 철강·조선기자재 중소산업 기반은 미국 등 해체 선진국의 사례를 볼 때 원전해체기술로 가장 빨리 전환할 수 있는 업종”이라 강조했다.

경북은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 유치 당위성으로 국내 최다 원전 보유지역임을 부각시키고 있다. 경북에는 국내 원전 25기 가운데 절반인 12기가 위치하고 있고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방폐장)도 가동되고 있다. 여기에 가동 원전 12기중 2030년까지 월성 1~4호기, 한울 1·2호기 등 6기가 설계수명을 다하게 된다. 구체적인 해체센터 입지는 한국수력원자력과 방폐장이 위치한 경주를 고려하고 있다.

다만 경북도는 해체센터 입지가 이 같은 당위성과 입지 여건에도 불구하고 정치적인 입맛에 맞춰 결정되는 것을 가장 경계하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이달 말 해체센터 설립에 대한 구체적인 정부 방침이 발표되는 대로 본격적인 유치전에 뛰어들겠다”고 말했다.

지자체들이 이렇게 원전해체센터 유치에 사활을 걸고 있는 것이 이것이 향후 수십년간 지역경제를 이끌 블루오션으로 인식되면서다. 고리1호기 해체에만 1조원이 투입될 전망인데 2030년까지 국내에만 12기의 원전이 수명을 다한다. 지난 2012년 설계수명(30년)이 만료됐지만 10년 연장된 월성1호기는 소송 여하에 따라 연내 가동중단이 될 수도 있다. 전 세계적으로도 가동 중인 원전 438기 가운데 30년 이상 된 노후 원전이 절반 이상이다.

·부산=조원진기자·대구=손성락기자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