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김영선 "韓-아세안 관계 총괄할 컨트롤타워 있어야"

한·아세안 FTA 체결 10년

제2 교역파트너 부상 불구

동남아 진출 기업 '각개전투' 벌여

정부 차원 종합·체계적 지원 필수

정확한 정보로 문화 이해 도와야

김영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김영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한국과 동남아국가연합(ASEAN·아세안)의 관계를 총괄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합니다.”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10주년을 맞았다. 아세안은 한국의 제2 교역 파트너로 경색되고 있는 한중·한미 관계를 고려할 때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신흥 소비 시장이다. 특히 기술 기반의 국내 기업의 수요가 많은 곳이기도 하다.

김영선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은 최근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아세안이 한국의 제2 교역 파트너로 국내 기업의 경제지도를 넓히는 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정부 차원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이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다행히 문재인 정부가 한국의 외교와 경제 지평을 넓히겠다며 대아세안 정책에 힘을 싣기 시작하면서 한국과 아세안 간 협력이 강화될 것이라는 게 김 총장의 판단이다. 김 총장은 문재인 대통령 취임 이후 언론 등으로 아세안 특사 파견을 건의했고 문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 중 최초로 아세안 특사로 박원순 서울시장을 파견한 바 있다.


김 총장은 대아세안 전략을 수립하는 데 장기적인 비전과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치·외교·경제·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부부처나 국회, 민간 기관과 학계 등 복합적이고 종합적인 대아세안 협력이 이뤄져야 한다”며 “이를 총괄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베트남과 태국 등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각개전투’로 힘겨운 사투를 벌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지만 장애물을 낮추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뒷받침이 이뤄진다면 한층 더 수월하게 시장을 공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세안 시장의 라이벌인 일본과 비교해보면 아세안과의 교류 협력 증진을 위한 한-아세안센터 등의 국제기구가 출범한 시기는 일본에 비해 상당히 늦다.

관련기사



아울러 김 총장은 아세안 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한-아세안 경제 협력을 위한 필수 조건이라고 설명했다. 김 총장은 “아세안에 대해 한국인 대다수는 쇼핑을 하거나 마사지를 받는 관광국이라는 인식이 강하다”며 “한국 기업도 이러한 관점에서 시혜적인 자세로 태국 기업들을 상대하는데 이는 매우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일각에서 일본이 태국 자동차 업계를 장악한 비법이 상대방을 존중하는 문화라고 주장하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이다. 김 총장은 “한국 기업이 아세안 국가로 뻗어 나가고 싶어도 국가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부족하다”고도 지적했다.

김 총장은 아세안을 통해 국내 중소기업의 성장 루트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아세안 10개국의 인구는 6억3,000만명으로 중국과 인도에 이어 세계 3위 규모인데다 경제성장률도 지난 2007년부터 연평균 5%를 기록하고 있다. 그는 “예를 들어 태국은 ‘타일랜드 4.0’이라는 비전을 세우고 한국과 일본 등의 기술을 전수받고 산업화하려는 의지가 강하다”며 “한국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종교·문화적 접근성이 높은 만큼 아세안과 긴밀한 관계로 발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총장은 1955년 태어나 서울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외무고시 11회로 청와대와 외교부의 요직을 두루 거쳤다. 외교부 대변인을 지냈고 주인도네시아 대사를 끝으로 공직에서 물러났다. 인도네시아 대사 경험을 바탕으로 2015년 3월부터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으로 활약해왔다.

박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